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되돌아보면 2018년을 평화의 새로운 시작이라고 했다. 남북은 그 어느 때보다 수많은 만남과 약속을 통해 한반도에 희망의 씨앗을 뿌렸다. 그렇게 상상 속의 평화를 현실로 만들기 위한 새싹이 돋았다. 그러나 2019년 한반도에 평화대나무의 싹은 쉬 자라지 않았다. 2020년에도 한반도를 뒤덮은 평화대나무 숲을 보는 것은 쉽지 않을 성싶다. 한국의 총선, 미국의 대선 그리고 북한에는 경제개발 5개년 전략을 결산하는 해라는 정치적 일정으로 인해 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지금 이 순간 2018년 심어 싹을 틔운 평화대나무의 새순이 어떤지 궁금하고 걱정이다. 그래도 아직 뿌리는 살아 있다고 믿는다. 남과 북이 함께한 신뢰의 생명력이 그렇게 쉬 꺼질 만큼 나약하지는 않다. 이제 2년밖에 지나지 않았다. 요즘 “너는 다 계획이 있구나”라는 영화 ‘기생충’의 대사가 유행이다. 한반도 평화대나무를 잘 키워 나갈 계획이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계획은 계획일 뿐이다, 아무리 창의적인 계획일지라도 실행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지금 우리에게는 계획만으론 충분치 않다. 계획을 실천하는 용기가 필요하다.
그렇다고 “왜 이리 안 자라냐”며 새순을 억지로 잡아당기는 것은 용기가 아니다. 빨리 크지 않는다고 위에서 억지로 당기면 뿌리째 뽑힐 수 있다. 5년 정권 내 남북 관계에 무엇인가 성과를 내야 한다는 강박관념과 조바심 때문에 멀쩡한 싹을 죽일 수도 있다. 한반도 평화가 먼 길이라면 정치적 계산 속에 가시적인 성과에 연연하거나 급급해서는 안 된다. 성과에 급급한 이벤트성 해법과 단기적 치유법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젠 우리가 진짜 할 수 있는 것과 하고자 희망하는 것을 명확하게 구분해야 할 때가 됐다. 과도한 자기충족적 예언과 근거 없는 낙관은 실현 가능한 정책과 전략수립에 장애가 될 수도 있다. 북미 관계에 연동돼 있고 상호주의에 갇힌 현 남북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새로운 개념 정립을 통해 새판 짜기를 준비해야 한다. 남북 관계에서 상대방과 뭔가 주고받아야 한다거나 꼭 북한을 상대로 무엇인가를 해야 한다는 상호주의 원칙과 고정관념을 버릴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와 관련해서도 남북 공동방역이나 대북 지원이라는 방식보다 국제 공동 대응의 틀 속으로 북한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이 더 유효할 수 있다. 북한의 코로나 관련 상황이 좋지 않을 것이라는 추측만으로 북한을 지원해야 한다거나 공공방역을 하자면 북한이 호응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코로나19는 이미 한 나라의 문제가 아니다. 전 세계 모든 국가의 공통적인 안보 문제라는 점에서 북한을 참여 국가들 중 하나로 국제 공동대응의 틀에 동등하게 참여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는 북한에 코로나 문제에 대한 우려 해소와 함께 제재 국면에서 국제사회에서 정상적인 활동이 제한돼 있는 북한이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참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기도 하다. 북한 스스로의 변화와 선택을 우선에 두고 남북 관계의 자율영역을 확보해 나가는 방향으로 계획을 만들고 실천해야 할 때이다.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기에, 그 꽃이 아름답고 그 열매가 성하다”고 했다. 땅속에 깊이 뿌리를 뻗었다면 아무리 빨리 자라나도 넘어지지 않는다. 지금은 평화가 단단히 뿌리를 내려 한반도 대지의 기운을 머금으며 언젠가 일순간에 자랄 날을 준비하는 시간이다. 한반도 평화의 뿌리가 깊이 내려져 있으면 그 누가, 그 어떤 세력이 뽑아내려 해도 견딜 수 있다. 꼭 올해가 아니어도 좋다. 언젠가 한반도의 기운을 머금고 이 땅에 가득할 평화 대나무를 만나고 싶다. 좀 나이가 들어서라도 하늘을 가릴 만큼 울창한 대나무 숲에서 가족들과 평화롭게 거닐 그날을 기대해 본다.
2020-03-0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