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실제로 부동산 투자의 수익률을 따져 보면 항상 성공적이지만은 않다는 분석도 나오지만 쉽게 묻혀 버린다. 부동산 가격이 일시적으로 정체하거나 하락하더라도 좀 지나고 나면 충분히 빠르게 오른다는 것이다. 부동산 투자의 유형이나 지역에 따라 장기 수익률이 높지 않은 경우도 많다. 하지만 이런 실패담보다는 성공담이 주로 뉴스거리가 된다. 본인도 하기 싫은 투자 실패 이야기로 여러 사람을 우울하게 만들 필요가 있겠는가.
언론이나 방송에서 부동산 투자 또는 투기를 조장한다는 시각도 있다. 성공한 연예인 건물주와 같은 화려한 사례를 주로 다루면서, 실패한 경우에 대해서는 침묵한다는 것이다. 부동산 시장이 조금이라도 침체 기미를 보이면 경제 전체가 큰일이 날 것처럼 요란하게 보도하는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 많다. 하지만 부동산 불패에 대한 믿음이 깊게 뿌리내리는 데 언론의 책임만을 물을 수는 없다. 부동산 공화국의 폐해를 지적하거나 부동산 시장 전망에 대한 부정적인 기사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사실 한국 사회에서 부동산 불패에 대한 굳건한 믿음이 형성된 것을 한두 가지 요인만으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오랜 기간 여러 가지 굴곡과 정부 정책과 다양한 경험을 통해 형성된 것이다. 그런데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부동산 불패에 대한 여러 사람의 믿음이 서로 상승작용을 한다는 점이다. 내 스스로는 부동산 시장의 호황에 대해 뚜렷한 믿음이 없지만 다른 여러 사람이 부동산 불패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안다고 해 보자. 이 경우 나는 미래 전망이 뚜렷하지 않아도 부동산 투자를 늘리는 게 맞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들의 믿음에 따라 부동산 투자를 유지하거나 확대할 것이므로 부동산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내가 다른 사람들의 믿음을 아는 것처럼 다른 사람들도 서로의 생각을 엿볼 수 있으며 내 전망에 대해서도 알고 있다고 해야 맞을 것이다. 이 경우에도 부동산 시장을 불확실하게 보는 내 전망에 근거해 다른 사람들이 투자하는 데 주춤하지는 않을 것이다. 부동산 시장을 낙관적으로 보는 시각이 더 많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낙관적 시각이 많다는 것을 알고 있는 ‘나’도 부동산 투자를 늘릴 것임을 다른 사람들이 쉽게 예상할 것이다. 즉 기대에 대한 기대, 또는 믿음에 대한 믿음(higher order beliefs)이 중층적으로 형성되면서 자산시장의 가격을 끌어올리는 것이다.
물론 현실에서는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읽는 게 쉽지 않다. 큰돈이 걸려 있는 투자판이라면 자신의 패를 드러내지 않거나 반대인 척하는 게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처럼 투자자도 많고 부동산 불패에 대한 믿음이 광범위한 경우는 좀 특별하다. 투자자들은 매일같이 부동산 성공에 대한 믿음을 퍼뜨리고 다시 이러한 믿음은 기존의 투자자들을 결속시키는 한편 새로운 투자자들을 불러 모은다. 인구구조의 변동이나 일본 사례 등에 주목해 부동산 시장 전망에 부정적이던 사람들도 거대한 믿음의 흐름과 이 믿음이 실현되는 소용돌이에 휩쓸리곤 한다.
문제는 부동산 가격의 상승과 부동산 불패의 믿음으로 연결된 순환구조가 거꾸로 부동산 가격 하락과 비관적 전망의 순환구조로 바뀔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인구구조의 변동은 이미 예고돼 있으며 금리 등 경제 여건도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부동산 불패는 이미 신화라고 여기는 사람들도 많겠으나 여러 번의 금융위기는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믿음도 단기간에 바뀔 수 있음을 잘 보여 준다. 광범위하고 깊게 뿌리내린 믿음이 무너질 정도라면 그 조정 과정이 혹독하리라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우리가 부동산 시장을 빨리 안정시켜야 할 또 하나의 이유라고 하겠다.
2020-02-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