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바둑에서 세가 불리할 때 단번에 상황을 뒤집을 수 있는 숨은 수를 묘수라고 한다. 많은 사람이 자신들이 처한 불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묘수를 찾는다. 그만큼 위험을 감수하고 두어야 한다. 생각해 보면 할아버지와의 바둑에서 궁지에 몰리면 늘 이리저리 빠져나갈 궁리만 했다. 고민 끝에 두었지만 묘수가 아니라 오히려 패착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묘수는 임시방편으로 부분적인 문제는 해결할지 몰라도 오히려 판 전체를 망칠 수도 있다. 그래서 장고 끝에 악수 난다는 속담이 있는가 보다.
바둑에서 묘수를 세 번 두면 진다는 격언이 있다. 묘수를 세 번씩이나 고민한다는 것은 그 바둑의 판세가 그만큼 불리하다는 뜻이다. 뻔한 수라면 자칫 상대에게 꼼수를 쓰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지금 남북관계에도 묘수가 필요하다고들 한다. 바둑에서처럼 남북관계를 타개할 묘수를 찾는다는 것은 그만큼 현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이고 지금까지 제대로 된 대북정책의 수를 두지 못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은퇴한 이세돌 9단이 인공지능의 허를 찌르는 묘수로 인공지능을 이겼다. 그러나 이제 더이상 인간이 인공지능을 이길 수는 없다고들 한다. 인공지능이 이제는 묘수마저 정수로 기억하고 계산하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남북관계에 묘수가 남아 있을지 의문이다. 지금까지 제안된 것만으로도 되돌릴 수 없는 남북관계를 만들 묘수들은 넘쳐난다. 그럼에도 지금껏 남북관계가 제자리걸음인 이유는 상상력의 부족에서가 아니라 의지와 용기의 부족 때문이다.
인생도 바둑도 타이밍이다. 남북관계도 마찬가지다. 2년 넘게 금강산 관광 재개라는 정수를 두지 않았다. 북한이 조건 없이 재개하자고 했음에도 미국 훈수에 용기를 내지 못했다. 이제 그 수는 더이상 둘 수 없게 되었다. 여태껏 금강산 관광 재개를 못하고 방 빼라고 하니 이제 와서 기다려 달라고 한다. 그러다가 안 되니 미국 탓하며 개별관광이라는 수를 꺼내 들었다. 나름 묘수라고 생각하는가 보지만 이미 다 아는 수니 묘수라기 쑥스럽다. 개별관광이 가져올 또 다른 문제를 얼마나 예측하고 고민했는지에 따라 국면전환의 한 수가 될 수도 있고 오히려 악수가 될 수도 있다.
바둑판에 덩그러니 돌 한 개 올려놓고 묘수라고 할 수는 없다. 개별관광이 현 남북관계를 타개할 진정한 한 수가 되기 위해선 이와 연결시킬 다른 돌들도 제 위치에 있어야 한다. 개별관광을 하자면서 여전히 미국 눈치 보며 호르무즈 파병을 결정하고 한미연합훈련 계속하며 방위비분담금 협상에 절절매는 남한 정부를 보면서 북한은 어떻게 생각할까? 과연 개별관광이 실행하고자 하는 진정성 있는 제안인지 아니면 진정성 없는 꼼수로 볼지 궁금하다.
긴 호흡으로 가야 할 남북관계에 묘수란 없다. 당장 남북관계에 가시적 성과를 기대하는 단말마(斷末魔)적 대책은 오히려 판 전체를 망칠수도 있다. 예기치 못한 어려움도 있고 오해도 있고 방해도 있을 것이다. 그럴수록 묘수가 아니라 정직하고 당당한 수를 두어야 한다. 한 수 한 수 최선을 다하는 수밖에는 없다. 어떤 경우이건 판세를 잘 읽고 정수가 뭔지 알고 둘 수만 있다면 질 일이 없다.
북한은 정면돌파전이란 정수를 두고 있다. 이제 남북관계와 한미관계의 연결고리를 우리 스스로 과감하게 끊고 남북관계에 ‘정면돌파전’을 할 수 있는 ‘용기’를 가져야 한다. 기교가 아니라 기본으로 돌아가 북미관계에 연동되어 있고 상호주의에 갇힌 현 남북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남북관계 타개를 위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묘수를 만들어 낼 상상력보다 정수를 둘 진정성 있는 용기가 아닐까?
2020-01-29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