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춘욱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미국 등 선진국 시장에 대한 투자는 대단히 환영할 만한 일이다. 그 이유는 크게 보아 두 가지 때문이다.
첫 번째 요인은 한국 부동산 가격과 미국 주식의 가격 변화 방향이 반대라는 점이다. 서로 다른 두 자산의 가격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지, 혹은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지 파악하기 위해 고안된 통계 지표가 바로 상관계수다. 상관계수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두 자산 가격의 변화 방향이 반대이며, 상관계수의 값이 +1에 근접할수록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특성이 있다. 필자와 같은 재무학자들은 미국 주식과 한국 아파트처럼, 상관계수가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자산의 짝을 발견하면 보물을 발견한 것처럼 기뻐하게 된다. 가격 변화의 방향이 반대인 자산에 투자하면 불황이 오거나 혹은 호황이 오더라도 꾸준히 성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서울 부동산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던 2011~2013년 미국 주식에 투자했다면 6.6%, 10.6% 그리고 15.8%의 높은 성과를 누렸을 것이다(이하 모두 S&P500지수 기준이며 환헤지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
미국 주식 투자 붐을 환영하는 두 번째 이유는 미국 주식시장이 매우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1982년 이후 미국 주식은 연 환산 복리 수익률 기준으로 10.0%의 놀라운 성과를 기록할 뿐만 아니라 ‘플러스’ 수익을 기록할 확률이 78.4%에 이른다. 한편 한국 주식시장은 같은 기간 연 환산 복리 수익률이 8.2%로 미국에 크게 뒤처지지 않지만, ‘플러스’를 기록할 가능성은 56.8%에 불과하다. 따라서 주식의 높은 위험이 싫은 투자자들에게 미국 주식은 매력적인 투자 대상이 될 수 있다.
이상의 요인을 감안할 때 미국 주식 투자는 대다수의 한국 사람들에게 아주 매력적인 부의 증식 수단이 될 수 있다. 다만 투자 업계에 20년 이상 몸담은 사람으로서 최근 미국 주식 투자에 나타난 두 가지 편향은 그렇게 마음 편한 일이 아니다.
가장 두드러진 편향은 배당주에 대한 기대가 과다하다는 것이다. 주주들에게 꾸준히 배당을 지급하며, 더 나아가 매년 배당금을 인상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전략. 생각만 해도 기분이 좋아진다. 그러나 현실에서 이런 기업을 찾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긴 시간 동안 배당을 지급하고 배당금을 인상한 기업들이 미국에 많은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안 그런 기업도 많았기 때문이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2008년으로, 당시 배당주 펀드는 참혹스러운 성적표를 받았다. 왜냐하면 배당주 펀드에 담긴 종목의 대다수가 금융주였기 때문이다. 부동산 가격이 폭락하며 금융기관들이 연쇄적으로 파산하고 있을 때 금융주의 주가가 급락했고, 이 과정에서 배당수익률이 높아졌던 것이다. 따라서 배당수익률이 높다고 마냥 좋아할 게 아니라 배당금의 지급 능력이 개선되는지 여부도 체크해야 한다.
두 번째 편향은 주가 하락의 위험을 대비하지 않는 태도다. 1982년 이후 미국 주식시장이 연 10% 이상의 놀라운 성과를 기록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2011년 이후 최근까지의 랠리 덕분에 성과가 과대 평가된 측면이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이어진 ‘잃어버린 10년’이 될 것이다. 당시 10년 동안의 연평균 주가 수익률이 -2.1%를 기록해 투자자들은 주가 급등락의 위험만 부담했을 뿐 한 푼의 수익도 올리지 못한 바 있다. 따라서 전체 보유 자산에서 미국 주식의 비중을 적정하게 관리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요약하자면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대단히 반가운 일이지만 배당주 등 특정 종류의 주식에 대한 편향, 특히 미국 주식시장의 강세가 끝없이 이어질 것이라고 믿고 올인해서는 안 된다는 이야기다. 부디 모처럼 찾아온 해외 투자의 붐이 2000년대 중반처럼 시들지 않고 오래도록 좋은 성과를 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2019-11-20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