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정치는 문화를 통해야만 구원?/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열린세상] 정치는 문화를 통해야만 구원?/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입력 2019-11-05 17:12
수정 2019-11-06 02: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요즘은 유튜브 영상이 워낙 많아 이리저리 보는데 우연히 장기표씨의 유튜브를 보고 깜짝 놀랐다. 그가 한국의 여타 정치인과 너무도 다른 발언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동안 그에 대해서는 운동권의 신화적 존재라든가 수억원이나 되는 민주화 보상금도 마다한 지조 있는 분 정도로만 알고 있었다.

그런데 영상으로 그의 정치철학을 들어 보니 철학은 물론 종교까지 아우르는 경지에 올라가 있었다. 이것은 그가 세운 ‘신문명 정경 아카데미’라는 단체의 이름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정치인이 세운 단체의 이름에 ‘문명’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게 자못 신기했다. 이 단체의 취지는 간단하다.

한국 사회는 앞으로 정치와 경제, 그리고 과학기술 분야에서 엄청난 변화를 겪는다. 인공지능(AI)의 창궐 같은 것인데, 이런 변화에 부응하려면 새로운 문명을 일으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그래야 한국인들이 자아실현을 할 수 있고, 개벽시대를 열 수 있다는 것이다. 나도 이 생각에 동의하는데, 재미있는 것은 그가 문명이나 자아실현과 같은 인문학적인 개념을 주장하고 더 나아가 개벽시대를 언급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내가 본 정치인 가운데 자아실현이나 개벽시대 같은 개념을 말한 사람은 없었다. 자아실현은 심리학 내지는 철학적인 개념이고 개벽은 종교적인 개념이다. 개벽은 19세기 말에 남학(南學)을 세운 김일부가 주창한 이래 동학 등의 신종교에서 계속해서 회자(膾炙)된 개념이다.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이제 인류는 문제 많은 선천시대를 뒤로하고 새로운 시대인 개벽시대를 맞이해야 한다.

이런 종교적인 이야기를 장기표씨 같은 정치인이 거론하고 있어 신기했는데 그 참에 정치와 종교, 혹은 정치와 문명(문화)의 관계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됐다. 정치와 종교의 관계에 대해서 원불교를 세운 소태산은 이 둘은 수레의 양 바퀴처럼 같이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치는 엄부, 즉 엄격한 아버지로서 사람들을 엄중하게 대하지만 종교는 자모, 즉 인자한 어머니로서 사람들을 다독거려야 한다는 것이다.

정치와 문화도 마찬가지다. 이 둘 역시 한 쌍이라 어느 하나만으로는 인간을 구하지 못한다. 우선 정치는 인간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치지만 스스로를 구원하지는 못한다. 실제적인 구원은 문화가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화 자체는 아무 힘이 없다. 정치가 힘을 실어 주지 않으면 문화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사람을 사람답게 살게 해주는 것은 좋은 문화이지 정치가 아니다. 이것은 종교도 마찬가지다. 인간을 구원하는 것은 종교 안에 있는 좋은 문화이지 종교 그 자체는 아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교회에 가면 우선 건축에서 종교적인 감정을 갖는다. 그리고 찬송가를 부르며, 다시 말해 음악 문화를 통해 감동한다. 그런가 하면 ‘성서’는 대단히 훌륭한 문학 작품이다. 이렇듯 우리는 종교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이 표현된 문화에서 구원의 실마리를 찾는다.

정치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좋은 정치를 느끼는 것은 그 정치를 표현하는 좋은 문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좋은 정치는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으로 그치지 않는다. 인간으로 하여금 진정으로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 그래야 자아실현이 가능하게 된다.

잘 알려진 대로 미국의 인본주의 심리학자였던 매슬로는 인간의 욕구 단계 이론으로 유명하다. 그가 제시한 마지막 단계가 바로 자아실현이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이 단계까지 가야 진정으로 행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단계까지 가는 것은 내가 선택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가도 되고 안 가도 되는 그런 게 아니라는 것이다. 자아실현의 욕구는 우리가 진정한 인간이 되기 위해 반드시 충족돼야 하는 욕구다.

그런데 이 단계까지 가려면 환경이 받쳐 주어야 한다. 문화는 그 단계가 어떻다는 것만 알려줄 뿐 그런 환경을 만들어 주지 못한다. 이 환경은 정치만이 만들어 낼 수 있다. 실행력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노상 국회의원을 욕하지만 어쩔 수 없다. 그들이 아니면 현실을 바꿀 수 없다. 그렇다면 결론은 이런 문제를 잘 알고 있는 사람을 국회의원(그리고 대통령)으로 뽑아야 하는 것 아닐까?
2019-11-06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