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자연의 경고

[길섶에서] 자연의 경고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5-03-26 23:40
수정 2025-03-27 00: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경북 의성에서 시작해 안동, 청송 등으로 번진 초대형 산불의 피해가 막심하다. 소중한 목숨들이 화마에 희생됐고, 유서 깊은 국가문화유산과 생활 터전이 험한 불길에 새까맣게 타 버렸다. 영상으로 보는 것조차 숨이 턱 막힐 정도인데 피해 현장 주민들은 얼마나 두렵고 기가 막힐까.

해마다 발생하는 산불이지만 갈수록 규모가 커지고 횟수도 잦아지는 추세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산불 피해가 심각하다. 지난 1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LA 산불은 24일 동안이나 지속됐다. 기후변화가 산불의 대형화, 장기화의 주범으로 꼽힌다.

지난해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약 1.55도 상승했다고 세계기상기구(WMO)가 밝혔다.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에서 세웠던 제한선(1.5도 이하)을 넘은 것. 인간이 초래한 지구온난화는 가뭄, 홍수, 태풍 등 무시무시한 자연 재난으로 돌아오고 있다. 그런데도 기후위기 부정론자들은 눈앞의 현실을 무시하면서 음모론을 퍼뜨린다. 자연의 경고를 듣지 못하는, 아니 듣지 않으려는 어리석은 이들이다.

이순녀 수석논설위원
2025-03-2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