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선물 포장/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선물 포장/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24-02-02 03:28
업데이트 2024-02-02 03: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아파트 분리수거장에 선물 포장물이 수북한 걸 보니 설이 가까워지긴 했나 보다. 종이 박스와 스티로폼, 크고 작은 플라스틱 용기, 종이백, 합성수지 완충재 등이 수거통마다 가득하다. 경비원 두 분이 수거물들을 묶고 정리하면서 부피를 가능한 한 줄이려고 애를 쓴다. 평소엔 1명이 하던 일이다. 명절 때마다 경비원들이 분리수거에 홍역을 치르는 걸 보면서 포장물을 최대한 압축해 내놓아야겠다고 다짐하곤 했다.

선물 포장이 과하긴 하다. 한과 세트 하나를 받으면 보자기에 두꺼운 박스는 기본이다. 그 안엔 한과를 1~5개 단위로 담은 소포장물 20~30개가 들어 있다. 과일 선물도 마찬가지다. 한과나 과일 세트를 서너 개 정리하면 집에 있는 분리배출백을 꽉 채우고도 모자란다. 심한 경우엔 내용물보다 포장재를 선물받는다는 기분이 든다. 포장 크기와 횟수ㆍ재질 등을 규제하는 법이 있지만 현장에선 잘 지켜지지 않는다고 한다. 선물에 담긴 마음보다 미관을 중시하는 선물 문화가 언제쯤이나 바뀔까.
임창용 논설위원
2024-02-02 2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