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률의 아포리즘] 방시혁과 민희진이 맞짱 뜬 진짜 이유

[김동률의 아포리즘] 방시혁과 민희진이 맞짱 뜬 진짜 이유

입력 2024-07-01 03:16
수정 2024-07-01 03: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화가 국가경제 동력인 세상
부지런한 꿀벌은 울지 않는다지만
개미보다 베짱이가 잘사는 현실
문화산업이 돈 되는 세상의 초상

경기고. 지금은 아득한 과거가 돼 버렸지만 고교 입시가 있던 시절 대한민국 최고의 명문고였다. 북촌에 있는 정독도서관이 옛 경기고 교사다. 전국에서 몰려온 수재들이 공부했던 학교. 이제 벚꽃이 피면 이 땅의 청춘들이 데이트하는 장소로 인기다. 경기고 교훈의 한 항목은 ‘문화인’이다. 나라가 망해 가던 구한말 1900년에 개교했다. 설립 당시 간난했던 지난 역사를 생각할 때 문화인이라는 교훈은 언뜻 이해가 가질 않는다. 그러나 백범 김구 선생이 평생토록 소원한 것이 문화의 힘임을 생각하면 조금 이해가 간다. 문화는 하나의 생태계와 같다. 문화는 스스로도 행복하지만 남에게도 행복을 준다.

그러나 문화는 이 같은 초창기의 소박한 개념에서 벗어나 이제 거대한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문화산업이란 말은 1944년 출간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두 핵심 인물인 막스 호르크하이머와 테오도어 아도르노가 함께 쓴 책 ‘계몽의 변증법’에 처음 등장한다. 그들은 문화산업을 문화가 자본과 합쳐지면서 대중의 의식을 조작하는 수단이라며 폄하했다. 이에 따라 비판 이론가들은 늘 문화산업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고 줄기차게 비판해 왔다. 이 경우 문화산업은 고급문화보다는 대중문화를 의미한다.

그러나 세상이 변했다. 최근 사용되는 문화산업은 과거의 그것과는 상당히 다른 개념이다. 대중문화가 국가경제의 핵심 동력이 된다는 적극적인 개념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름하여 컬처노믹스(Culture-nomics), 황금알을 낳는 거위쯤으로 인식된다. 이 과정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은 콘텐츠다. 문화산업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했다. 문화 콘텐츠는 이제 제작, 가공, 유통, 소비 과정을 거치며 거대한 산업으로 떠올랐다. 임영웅 신드롬을 보면 쉽게 이해가 되겠다.

문화산업과 관련된 용어와 그 범위는 나라마다 다르다. 미국은 미디어 엔터테인먼트산업, 영국은 창조산업이라 부른다. 문화산업이 이른바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부각되는 가장 큰 이유는 고부가가치 산업이기 때문이다. 하나의 성공한 문화 콘텐츠는 다양한 장르로 재창조되는 이른바 원 소스 멀티 유즈(one-source multi-use)를 통해 끊임없이 부가가치를 창출해 낸다. 그래서 미래학자들은 지금의 지식 기반 경제는 곧 콘텐츠 기반 경제로 발전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문제는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주목받으며 맹위를 떨치는 문화 콘텐츠산업을 위해 정부와 사회가 인위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 극히 제한적이라는 데 있다. 문화산업을 통한 경제발전은 기존의 제조업을 통한 관주도형 경제발전과는 근본적으로 성격이 다르다. 제조업은 공장을 지어 주고 투자를 도와주면 바로 결과가 나타난다. 하지만 문화산업은 정부의 직접투자가 가시적인 효과를 내기가 어렵다. 따라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다양한 사람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낼 수 있도록 환경과 제도를 구축하는 일이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산업에서의 정부의 역할은 직접적이라기보다는 간접적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를 산업으로 적극 육성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수익만을 좇다 보면 역설적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오히려 줄어드는 데 이 산업의 어려움이 있다.

널리 알려진 ‘개미와 베짱이’ 이솝우화가 있다. 알려진 대로 이 이야기는 열심히 일한 개미가 놀기만 하는 베짱이보다는 더 잘살게 된다는 내용이다. 즉 산업화 시대가 필요로 하던 근면성을 교훈으로 담고 있다. 그러나 시대가 바뀌었다. 문화산업이 새로운 먹거리산업으로 떠오르면서 원작자 이솝에게는 미안하지만 개미와 베짱이의 교훈은 이제 옛말이 됐다. 히트곡 한 곡 있는 베짱이가 열심히 땀 흘린 개미보다 수백 배, 수천 배 더 잘살게 되는 게 지금의 현실이다. 18세기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 윌리엄 블레이크는 ‘부지런한 꿀벌은 울지 않는다’(The busy bee has no time for sorrow)고 말했지만, 헉, 세상이 바뀌었다. 슬퍼할 겨를도 없이 열심히 일하는 것보다는 똑똑한 킬러 콘텐츠 하나만 있으면 수백, 수천 명을 먹여 살리는 시대가 됐다. 방시혁과 민희진이 크게 한판 맞짱을 뜬 것도 그들이 움켜쥔 문화산업이 돈이 되기 때문이다.

김동률 서강대 교수(매체경영)

이미지 확대
김동률 서강대 교수(매체경영)
김동률 서강대 교수(매체경영)
2024-07-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