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노인과 바다의 도시

[씨줄날줄]노인과 바다의 도시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24-07-01 03:16
수정 2024-07-01 03: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부산은 ‘노인과 바다의 도시’라는 말이 있다. 청년(19~34세)은 밖으로 나가고 65세 이상 노인만 남았다는 뜻이다. 유엔 기준으로 부산은 2020년에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바다 등 좋은 자연경관은 그대로 있으니 은퇴자들을 위한 실버도시가 제격이라는 서글픈 진단도 나온다.

대한민국 제2의 도시라는 부산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지역내총생산 기준으로는 인천이 2위 도시다. 인천은 2021년부터 2년 연속 부산을 앞지르고 있다. 인구로는 340만명으로 제2의 도시지만 통계청 장래인구 추계에 따르면 2035년에 인천에 추월당한다.

부산의 ‘하락’에는 첨단산업 중심으로의 경제구조 전환이 더딘 점이 크게 작용한다. 성장동력이던 조선업 경쟁력을 제고할 최신 디지털기술 개발과 이를 활용할 인재 양성은 지지부진해지고 있다. 부산시의 염원인 금융업 활성화를 위한 한국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은 야당 반대로 잘 진척되지 않는다.

부산시가 광역시 중 최초로 지역소멸 위험 단계에 들어갔다는 우울한 소식이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지방소멸 2024: 광역 대도시로 확산하는 소멸 위험’ 보고 내용이다. 이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부산의 소멸위험지수는 0.490이다. 소멸위험지수는 임신을 할 수 있는 20~39세 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로 나눈 값이다. 이 수치가 0.2 이상 0.5 미만이면 소멸 위험 지역이다.

저출산 문제는 난제다. 비수도권 지역으로서 인구와 산업 변화 흐름에 걸맞은 변신을 주도해야 한다. 젊은이들을 끌어들일 신성장 산업을 키우고 생활인구 개념도 활용해 지역 활성화를 이뤄 내야 한다.

지역민들의 관심은 ‘부산 부활’이다. ‘글로벌 허브도시론’을 내세운 박형준 시장이 수도권 일극체제에서 다극체제로의 변화를 이끌 기수가 되기를 빈다. 부산, 경남 행정통합 등 거대도시화가 그 시발점이 될 수 있다.
2024-07-0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