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스물한 살 ‘농업인의 날’을 맞아/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기고] 스물한 살 ‘농업인의 날’을 맞아/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입력 2016-11-10 18:12
수정 2016-11-14 17: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연중 많은 기념일이 있지만 11월 11일은 특별한 날이다. 1이라는 숫자가 네 번이나 겹치다 보니 ‘막대과자 데이’, ‘가래떡 데이’ 등 숫자 ‘1’ 모양을 빗댄 여러 이름들이 붙었다. 하지만 11월 11일은 법정기념일로 ‘농업인의 날’이다. 농업의 근간인 흙을 뜻하는 ‘흙 토’(土) 자를 풀면 ‘십일’(十一)이 되고, 이 시기가 추수의 기쁨을 함께 나눌 수 있는 때라는 의미에서 지정됐다.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 체제가 출범함에 따라 우리 농산물 시장이 개방되면서 위기감이 높아졌다. 이듬해인 1996년 정부는 농업인들을 격려하고 농업의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농업인의 날’을 제정했다. 단순히 농업인의 날 하루를 기념하는 의미를 넘어 농업의 소중한 가치를 국민들과 함께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농업인의 날을 강조하는 것은 인간의 삶과 뿌리가 농업이기 때문이다. 인류의 역사란 ‘농업의 역사’라고 한다. 인간이 농사를 지음으로써 일정한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고 문명이 발생했다. 농업이 발달하면서 경작에 필요한 도구와 토기가 만들어졌다. 농업 생산량이 늘면서 인구가 획기적으로 증가했고 산업과 문화가 발전했다. 산업이 발달하면서 1차 산업인 농업에서 2차 산업인 제조업, 그리고 3차 산업인 서비스업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했지만 농업 본연의 가치는 변하지 않고 있다.

세계 유례없는 고속 경제성장을 이룬 우리나라다. 압축성장 과정에서 우리 농업도 품종 개량과 기술혁신, 기반 투자를 통해 급속한 생산 증대를 이뤄 냈다. ‘보릿고개’를 극복하고 식량 자급을 이룩한 것이 1970년대 후반으로 불과 40년도 되지 않았다. 이제는 모자라는 시대에서 남는 시대로 전환됐고 농산물 시장도 개방된 세상에 살고 있다. 급속한 산업화 그늘에 가려 지금은 농업이라고 하면 ‘경쟁력이 떨어지는 산업’, ‘보수적인 분야’ 등의 이미지를 떠올린다. 농업을 보는 인식을 바꾸어야 한다. 먹을거리 중심의 전통적인 생산 농업을 넘어 ‘신(新)산업’으로 인식해야 한다.

최근 농업은 다양한 과학기술과 아이디어가 융복합된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1차, 2차, 3차 산업이 어우러진 6차 산업으로 변화돼 생산과 유통, 소비, 수출, 관광, 문화 등이 융복합되고 있다. 농산물과 야생식물, 동식물 소재를 이용해 고부가가치 상품을 만들어 낸다.

농업이야말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미래산업’이다. 세계적인 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짐 로저스는 “미래 최고의 유망 직종은 농업”이라면서 “다음 생에는 농부로 태어나고 싶다”고 말했다.

농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보았기 때문이다.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사이먼 쿠즈네츠는 “후진국이 공업화를 통해 중진국은 될 수 있지만 농업 발전 없이 선진국으로 진입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농업인의 날이 올해로 21주년을 맞는다. 사람으로 치면 가장 왕성하게 활동할 나이다. 농업인의 날을 계기로 국민과 함께 왕성하게 활동하는 ‘신농업 시대’를 열어 가야 한다. 11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리는 농업·농촌 문화 한마당에도 많은 성원을 부탁드린다.
2016-11-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