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2500㎞. 서울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까지 거리다. 비행기를 갈아타고 꼬박 이틀을 날아가야 하는 먼 여정이다. 우리 마음속의 아프리카는 그보다도 더 멀리 있다. 척박한 자연 환경과 원주민, 이태석 신부님. 우리 국민들이 아프리카 하면 떠올리는 것은 이 정도 아닐까. 그간 아프리카는 우리에게 막연한 호기심 또는 봉사의 대상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아프리카는 생각보다 가까이 있다. 특히 세계경제가 저성장으로 신음하고 있는 이때, 아프리카는 우리 경제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경제에서 아프리카의 비중(국내총생산 기준)은 아직까지 2.9% 정도에 불과하다. 그러나 그 잠재력은 어느 지역보다 크다. 잘 알려진 것처럼 아프리카는 희귀 자원의 보고다. 원유를 비롯해 다이아몬드, 백금, 망간 등 광물자원이 풍부하다. 또 아프리카는 젊다. 아프리카 인구는 현재 12억명으로 연간 4000만명 이상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풍부한 자원과 인구는 지속적인 성장 동력과 시장을 제공할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아프리카를 향한 구애 경쟁도 치열하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014년 ‘미국·아프리카 기업포럼’ 연설에서 아프리카에 330억 달러 규모의 투자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해 12월 ‘아프리카협력포럼’(FOCAC)을 통해 중국과 아프리카 간 개발협력 증진을 위한 10가지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뒤질세라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는 지난 7월 케냐에서 ‘아프리카개발회의’(TICAD)를 열어 향후 3년간 300억 달러를 아프리카에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우리나라도 아프리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협력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 6월 역대 대통령으로는 최초로 박근혜 대통령이 아프리카연합 본부를 방문했다. 여기서 발표된 4대 비전(개발경험 공유, 호혜·미래지향적 경제협력, 지속가능한 평화·안정 구축, 제도적 협력틀 강화)은 대(對)아프리카 경제 협력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다음주 서울에서 개최되는 ‘한국·아프리카 경제협력 장관회의’(KOAFEC)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다. 한국·아프리카 장관회의는 올해로 10주년을 맞았다. 이번 회의에서는 그간의 성과를 짚어 보고 앞으로의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앞으로 4~5년간 농업 혁신, 에너지 향상, 산업화 촉진, 아프리카 경제통합을 위한 100억 달러 규모의 금융협력 방안이 제시된다.
혹자는 미국, 중국, 일본 등의 대규모 원조와 비교해 우리나라의 아프리카 경제협력 노력을 과소평가한다. 그러나 이는 경제개발 원조를 단지 양적 투입으로 단순화시켜 바라보는 오류에 기인한다. 경제 원조가 실질적인 경제 발전으로 이어지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인적 자원, 제도, 정치 등 다양한 요소가 뒷받침돼야 한다. 우리나라는 다른 선진국들이 갖지 못한 경제 개발의 경험이 있다. 선진국이 수백년에 걸쳐 이룩한 산업화와 민주화를 반세기 만에 이룩했고, 세계 최초로 수원국에서 원조 공여국으로 탈바꿈했다. 이러한 경험은 아프리카에 무엇보다 소중한 선례이자 귀감이 된다. 이런 점에서 우리나라는 아프리카 국가들에 그 어떤 나라보다 끈끈한 파트너가 될 수 있다.
다음주에는 격년으로 열리는 한국·아프리카 경제협력 장관회의의 막이 오른다. 올해 행사는 10주년 기념과 2018년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한국 총회 유치를 기념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린다. 아프리카 42개국 재무장관을 포함해 아프리카개발은행, 유엔, 민간기업 대표 등 국내외 인사 10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는 우리나라와 아프리카의 협력을 공고히 하고, 멀리 있는 아프리카를 우리 곁으로 불러올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아무쪼록 멀리서 찾아오는 귀한 손님들에게 우리 국민들의 따뜻한 관심과 환대를 기대해 본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정이 이렇다 보니 아프리카를 향한 구애 경쟁도 치열하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014년 ‘미국·아프리카 기업포럼’ 연설에서 아프리카에 330억 달러 규모의 투자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해 12월 ‘아프리카협력포럼’(FOCAC)을 통해 중국과 아프리카 간 개발협력 증진을 위한 10가지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뒤질세라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는 지난 7월 케냐에서 ‘아프리카개발회의’(TICAD)를 열어 향후 3년간 300억 달러를 아프리카에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우리나라도 아프리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협력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 6월 역대 대통령으로는 최초로 박근혜 대통령이 아프리카연합 본부를 방문했다. 여기서 발표된 4대 비전(개발경험 공유, 호혜·미래지향적 경제협력, 지속가능한 평화·안정 구축, 제도적 협력틀 강화)은 대(對)아프리카 경제 협력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다음주 서울에서 개최되는 ‘한국·아프리카 경제협력 장관회의’(KOAFEC)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다. 한국·아프리카 장관회의는 올해로 10주년을 맞았다. 이번 회의에서는 그간의 성과를 짚어 보고 앞으로의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앞으로 4~5년간 농업 혁신, 에너지 향상, 산업화 촉진, 아프리카 경제통합을 위한 100억 달러 규모의 금융협력 방안이 제시된다.
혹자는 미국, 중국, 일본 등의 대규모 원조와 비교해 우리나라의 아프리카 경제협력 노력을 과소평가한다. 그러나 이는 경제개발 원조를 단지 양적 투입으로 단순화시켜 바라보는 오류에 기인한다. 경제 원조가 실질적인 경제 발전으로 이어지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인적 자원, 제도, 정치 등 다양한 요소가 뒷받침돼야 한다. 우리나라는 다른 선진국들이 갖지 못한 경제 개발의 경험이 있다. 선진국이 수백년에 걸쳐 이룩한 산업화와 민주화를 반세기 만에 이룩했고, 세계 최초로 수원국에서 원조 공여국으로 탈바꿈했다. 이러한 경험은 아프리카에 무엇보다 소중한 선례이자 귀감이 된다. 이런 점에서 우리나라는 아프리카 국가들에 그 어떤 나라보다 끈끈한 파트너가 될 수 있다.
다음주에는 격년으로 열리는 한국·아프리카 경제협력 장관회의의 막이 오른다. 올해 행사는 10주년 기념과 2018년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한국 총회 유치를 기념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린다. 아프리카 42개국 재무장관을 포함해 아프리카개발은행, 유엔, 민간기업 대표 등 국내외 인사 10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는 우리나라와 아프리카의 협력을 공고히 하고, 멀리 있는 아프리카를 우리 곁으로 불러올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아무쪼록 멀리서 찾아오는 귀한 손님들에게 우리 국민들의 따뜻한 관심과 환대를 기대해 본다.
2016-10-2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