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혜진 한국 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담배 경고그림이 바로 그렇다. 담배에는 4000여 가지 화학물질이 들어 있고 그중 43가지는 발암물질로 알려졌다. 그런데도 담배를 끊지 못하는 이유는 무얼까.
두 가지 설명이 가능하다. 우선 흡연의 위험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위험인식이 낮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둘째는 담배를 끊기가 그만큼 어렵다는 것이다. 실제로 담배는 코카인이나 헤로인 같은 마약만큼 중독성이 강하다고 한다.
담배 경고그림의 목적은 흡연의 위험을 경고하는 것이다. 경고그림을 보고 흡연자가 위험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금연을 유도하자는 것이다. 생생한 이미지로 위험을 알리는 경고그림은 이미 80여개국에 도입됐다. 올해 우리나라와 유럽연합(EU) 21개국도 도입한다. 이 101개 나라 중에서 경고그림 크기를 따지면 우리나라가 꼴찌다. 폐암 수술 장면이나 후두암종이 클로즈업된 이미지는 고작해야 담뱃갑의 30% 크기로는 잘 보이지도 않아 효과가 줄어들까 우려스럽다.
담배업계는 비흡연자에게도 경고그림이 불쾌감을 줄 거라고 비난한다. 일리가 있다. 차라리 담뱃갑 진열을 금지하는 것은 어떨까. 흡연자는 구매 시점에 담배의 유혹을 받지 않아도 되고 비흡연자는 경고그림으로 인해 불쾌하지 않아도 된다. 캐나다, 영국, 호주, 태국 등에서 시행하고 있는 금연정책이다. 가게 전체를 도배하다시피 하는 화려한 담배 광고도 금지해야 한다. 청소년은 편의점에 진열된 담뱃갑의 경고그림을 보기도 전에 화려한 담배광고의 유혹에 넘어갈 수 있다.
경고그림을 넣어 봐야 흡연율이 쉽게 낮아지지 않을 거라고도 한다. 역시 맞는 말이다. 아무리 위협적인 그림도 시간이 지나면 둔감해지기 마련이고 중독성 있는 담배는 끊기가 어렵다. 따라서 경고그림의 크기를 키우고 그림을 자주 바꾸는 한편 더 강력한 금연정책과 캠페인, 금연 교육을 함께 진행해야 한다.
경고그림의 혐오 정도가 지나치다는 담배업계의 주장은 혐오의 의미를 전적으로 무시한다. 혐오는 흡연의 폐해를 경고하는 위협 수준이며, 이는 그림의 효과성 및 설득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림이 혐오스러울수록 효과적이고 설득력이 있다는 증거는 이미 충분하다. 따라서 혐오감을 낮추라는 말은 효과성을 낮추라는 말과 다르지 않다. 흡연의 위험을 알리는 경고그림이 지나치지 말아야 한다니, 사람들이 ‘위험’을 “단거” 정도로 이해하길 바라는 건지 되묻고 싶다.
2016-04-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