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수 인사혁신처 인재개발국장
우리나라에 대한 그 교수의 오해는 거기서 그치지 않았다. 그는 당시 한국학중앙연구소와 한국국제교류재단의 지원을 받아 우리나라에 관한 백서를 집필하고 있었는데, 한국에 대한 무지와 오해를 유감없이 ‘발휘’했다. 그는 인터넷에 공개된 백서에서 “사람을 모르면 되는 게 없고, 사람을 알면 안 될 일도 갑자기 다 되는 나라가 한국이다”라고 주장했다. 백번 양보하더라도 그것이 우리 사회를 대표하는 실체적 진실이 아닌 것만은 분명하다. 우리나라의 자금 지원을 받아 내놓아야 할 연구 결과는 더더욱 아니었다. 게다가 그 교수는 네덜란드 내 탈북민에 대한 교육을 맡고 있었다고 한다. 다행히 문제의 심각성을 간파한 이기철 전 대사가 우리 정부와 협의해 관련 지원을 중단하는 등 기민하게 대응해 백서를 인터넷에서 내렸다.
이 전 대사는 한국학을 연구하는 대학교수의 인식이 이 정도라면 일반인은 어떨까 걱정돼 교과서를 확인해 보았다. 중국·일본 등은 몇 쪽에 걸쳐 소개되고 있는 데 반해 우리나라에 관한 기술은 전무하다시피 했다. 있어도 내용이 사실과 너무나 달랐다. 네덜란드 놀드호프 출판사가 펴낸 중등교과서에는 “한국 기업 대우가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섬에서 농작물을 착취하고 있다”는 생뚱맞은 내용이 소개돼 있었다. 또 다른 출판사의 초등지리 교과서에는 “한국은 어업이 발달한 후진국”으로 기술돼 있었다.
이 전 대사의 2년여간의 노력 끝에 지금은 상황이 완전히 달라져 있다. 초·중등 5개 교과서에 우리나라의 발전상이 5~6쪽에 걸쳐 수록됐다. 1970년대 모습을 찍은 사진 대신 첨단 산업발전을 선도하는 오늘날 한국의 사진이 실려 있다. 대한민국의 발전상을 체계적으로 기술한 최초의 외국 교과서가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몇몇 학교에서는 ‘한국 전문 수업’을 하고 있다. 네덜란드 유명 매체가 제작한 ‘우리의 대한민국’이라는 자료는 한국 전문 수업 맞춤형 교재로 활용되고 있다.
한 외교관이 공무원으로서의 사명감과 책임감을 갖고 논리를 개발해 백방으로 설득하는 헌신적 노력으로 일궈 낸 성과다. 이 전 대사는 2015년 인사혁신처가 주관하는 대한민국 공무원상(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인사혁신처는 출범 2년째를 맞아 올해 초 공무원의 마음가짐과 직무수행에 필요한 가치 기준을 담은 공무원헌장을 제정해 시행하고 있다. “우리는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우리는 헌법이 지향하는 가치를 실현하며 국가에 헌신하고 국민에게 봉사한다…(중략)” 공무원헌장을 읽는 순간 이 전 대사가 떠올랐다. 공무원은 모름지기 누구이며, 어떠해야 하는가. 공무원헌장을 실천할 사람! 바로 그 사람이 대한민국 정부가 채용해 육성하고자 하는 공무원 인재상이다.
2016-03-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