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한반도 아열대화로 대형산불 위험 상존…선진 방재시스템 시급”/원명수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연구관

[기고] “한반도 아열대화로 대형산불 위험 상존…선진 방재시스템 시급”/원명수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연구관

입력 2015-10-26 22:44
수정 2015-10-27 01: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형 산불 예방과 진화를 위해 우리 실정에 맞는 선진화된 시스템 도입이 절실하다. 과거 어느 때보다 많은 기후 변화를 겪는 지구촌에서 산불은 갈수록 대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물 부족과 아열대 기후로 빠르게 변하는 우리나라도 대형 산불 위험지역으로 꼽힌다.

이미지 확대
원명수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연구관
원명수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연구관
이런 이유에서 우리나라도 첨단 산불 진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2000년대 이전까지 산불 연구가 미약했지만 2002년 이후 본격 산림방재 연구가 시작되면서 비약적인 성과를 얻고 있다. 산림방재 연구는 선진국인 미국과 캐나다보다 60년 정도 늦게 시작했지만 정보기술(IT)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연구 10여 년 만에 5~7년까지 기술 격차를 좁혔다.

하지만 우리가 배워야 할 기술과 시스템은 많다. 우선 산림방재 선진국이 갖춘 위성과 최첨단 장비인 드론을 활용해 산림 공간정보를 얻는 시스템이다. 미국과 캐나다 등 산림방재 선진국들은 변화하는 기후 정보와 첨단 위성 관측 장비를 통해 대형 산불을 사전에 감지해 예방하거나 조기 진화에 나서며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

불길에 강한 활엽수를 심는 ‘내화 수림대’를 조성해 산불 확산을 막을 필요도 있다. 우리도 산불 발생지역부터 도입하지만, 아직 체계적이고 대단위 내화 수림대 조성은 미흡하다. 침엽수림의 밀도가 높은 지역부터 내화 수림대 조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대형 산불을 막고자 소규모의 산불을 허용하는 ‘처방화입’ 시스템 도입도 연구, 검토해야 한다. 국토가 좁은 우리나라 실정에 당장 도입하기는 쉽지 않다. 지금부터라도 충분히 연구할 가치가 있는 시스템이다.

해마다 산불이 나는 비무장지대(DMZ)의 숲 관리에 필요하다. 군사분계선 일대에 ‘산악 기상관측망’을 설치해 큰불이 발생하거나 번지는 것을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 기후변화에 따른 산불의 빈도를 줄이고자 정부는 산불 방지 선진 시스템 도입을 위한 투자에 인색하지 말아야 한다.
2015-10-27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