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열 자원순환경제사회연구소장
그렇지만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혜택에 대해서는 누군가 값을 치러야 한다. 우리의 소비는 미래세대가 누려야 할 행복을 우리가 당겨 쓰는 것일 수 있고, 인간과 공존해야 할 지구상의 다른 생명체가 누려야 할 권리를 침해하는 것일 수 있다. 이렇게 살다가는 당장 우리 세대에서 우리가 그 대가를 치러야 할 수도 있다.
경제학의 격언처럼 ‘세상에 공짜 점심이란 없다’. 소비에는 책임이 따른다. 개인의 책임과 집단의 책임 모두 중요하다. 도시라는 밀집된 공간에서 에너지와 자원을 외부에서 들여와 소비한 후 다시 외부로 내보내는 도시인들의 책임과 윤리는 더욱 막중하다. 서울과 같이 거대한 도시는 더욱 그러하다.
미국에서 살다 온 분들 가운데 가끔씩 미국에서는 쓰레기를 마음껏 버리도록 하는데 왜 유독 한국에서는 쓰레기 버리는 것으로 시민들을 못 살게 구는지 모르겠다고 불평을 한다. 도대체 미국 어느 도시에서 살다가 온 것인지 모르겠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같은 도시는 분리배출이 매우 철저할 뿐만 아니라 1회용품 규제도 엄격하다. 사실 미국 내에서도 점점 더 많은 도시가 쓰레기 문제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보다 국토 단위 면적당 쓰레기 발생량이 많은 반면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토지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미국인보다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미국과 단순하게 비교할 문제도 아니고 미국에서 쓰레기를 편하게 버린다고 그것을 따라갈 형편도 되지 않는다.
세계 3대 미항 중 하나인 이탈리아 나폴리는 매립장 사용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소각장 건설이 미뤄지는 바람에 쓰레기를 처리할 곳이 없어 2008년 도심에 쓰레기가 쌓이는 쓰레기 도시로 전락한 적이 있다. 지금은 어떻게 됐는지 모르지만, 갈 곳 없는 쓰레기가 도심을 채우는 공포는 먼 나라의 남의 일만은 아니다. 쓰레기의 최종 처리를 인천의 수도권매립지에 의존하고 있는 서울시 내일의 모습일 수 있다.
이웃을 위해, 그리고 내일의 우리 아이들을 위해, 지구의 모든 생명들을 위해 우리는 우리의 소비에 따른 책임을 다해야 한다. 철저한 쓰레기 감량과 분리배출을 통해 최종적으로 매립지로 보내는 양을 줄여야 한다. 쓰레기는 발생하는 지역에서 처리하는 것이 환경 정의에도 부합한다.
서울시에서는 재활용품 분리배출 기준을 통일해 시민들과 사업장의 분리배출을 독려할 계획이다. 시민들과 사업장의 적극적인 참여가 절실하다.
특히 그동안 분리배출에 소홀했던, 그래서 가정의 분리배출 노력에 묻어 갔던 사업장들의 노력이 배가돼야 한다. 더 많은 투자와 더 많은 홍보와 더 많은 책임이 필요하다.
쓰레기를 줄이는 것은 이제 서울 시민의 의무다. 선택의 여지가 남아 있지 않다.
2015-05-2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