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준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
영국 정부는 테크시티와 같은 성공 모델을 전국에 확산시키기 위해 ‘테크 네이션’이라는 전략을 수립했다. 전국 21개 지역을 대상으로 혁신 잠재력 등을 평가·분석하고 이 중 16개 지역에 혁신 클러스터를 육성하기 위한 계획을 마련한 것이다.
영국뿐만 아니라 미국도 ‘스타트업 아메리카 전략’으로 창업, 벤처 지원에 나서고 있다. 중국은 베이징 중관춘, 선전 등에 창업 붐을 조성하고 있다. 알리바바 마원을 닮고자 하는 젊은 중국인들이 이 시간에도 허름한 창업 카페에서 열심히 컴퓨터 키보드를 두드리고 있다. 독일의 베를린도 새롭게 유럽과 독일의 창업 허브로 발돋움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저성장과 일자리 부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좌고우면(左顧右眄)할 겨를이 없다는 긴박감 속에 자국의 모든 역량을 결집하고 있다. 특히 아이디어 사업화, 스타트업과 창업 활성화를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해 내려는 노력은 이미 세계적인 트렌드다.
우리가 추진하고 있는 아이디어 사업화를 기반으로 하는 창조경제 전략은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에 부응하는 것이다. 창조경제 혁신센터의 17개 시·도 확산 전략이 영국의 테크 내이션 전략과 내용과 방향이 유사하다는 점은 놀라운 사실이 아니다.
그동안 정부는 창조경제 인프라와 생태계를 만드는 노력과 함께 마인드와 문화를 확산하는 데 힘써 왔다. 그 결과 지난해 10월 세계은행이 발표한 기업환경평가의 창업부문 순위는 역대 최고 수준인 17위를 기록했다. 외국 언론에서는 “한국의 창업 물결에 정부의 지원이 한몫”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로버트 루카스는 “1960년대 이후 한국의 경제 성장은 어떤 경제이론으로도 설명하기 어려운 기적과 같다”고 말했다.
우리 경제에 다시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창의적인 인재들을 중심으로 스타트업 생태계가 만들어지고, 자생적으로도 다양한 아이디어가 사업화돼 성공 스토리를 써 나가고 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업과 지역 혁신의 허브로서 국가 발전의 중요한 촉매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대기업의 참여는 그간 지역의 한계를 극복하고 글로벌로 진출하기 위한 경험, 지식, 마케팅 역량을 더하기 위함이다. 앞으로 17개 혁신센터가 모두 출범하면 변화의 속도와 폭은 더 커질 것이며, 혁신센터에 참여하는 대기업 역시 내부의 혁신을 통해 성장 한계를 돌파하는 기회로 삼을 것이다.
경제발전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며, 성과가 나타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창조경제 혁신센터의 설립은 시작에 불과하다. 혁신센터를 어떻게 활용해 지역발전, 나아가서는 국가 발전을 이루어 낼 것인가 하는 문제는 우리가 어떻게 하는지에 달려 있다.
2015-03-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