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희 창의수업연구소 대표
우리나라의 수준 높은 게임 산업은 수출로 경제성장의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개인에게는 스트레스 해소, 관계형성 등의 긍정적 측면이, 사회적으로는 게임을 교육에 활용하거나 예술에 접목한 많은 사례들도 속속 나오고 있다. 그러다가도 ‘게임 과몰입’이라는 부정적 측면이 강조될 때면 한없이 걱정스럽기도 하다.
창의수업연구소에서는 2012년 4월부터 보건복지부 산하 드림스타트라는 단체에서 교육용 보드게임을 활용한 게임 과몰입 예방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교육용 보드게임은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다양한 간접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함께 토론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집중력과 사고력, 그리고 협동심을 발달시킨다. 이는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보드게임의 교육적 효과 연구와 학습지도안 개발’ 보고서를 통해서도 증명된 사실이다. 아이를 대상으로 보드게임의 효과를 실험한 결과 보드게임은 정서기능, 자기조절, 실행기능의 변화를 이끌어 인지적 발달뿐만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측면에서도 효과가 있음이 증명됐다.
게임에 빠져 있는 아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모도 함께 개선돼야 한다.
게임 과몰입 예방 프로그램을 시작하기에 앞서 아이들에게 ‘나는 게임 과몰입인가?’라는 질문에 ‘나는 게임 과몰입입니다’를 써 넣는 학생이 많았다. 대부분 부모님과 선생님들이 과몰입이라고 얘기했기 때문에 본인도 그렇게 판단하고 있었다. 부모의 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선용 사례를 통해 게임에 대한 무조건적 거부감을 줄이고, 게임은 금지가 아닌 조절할 대상으로 인식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우리는 ‘게임은 무조건 나쁜 것이다’라는 말을 들으며 금지해야 하는 것, 나쁜 것이라는 인식을 가져왔다. 하지만 이제는 막연한 거부감으로 회피하기보다 게임을 활용하고 조절할 대상으로 인식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유익한 게임은 얼마든지 나와 있고 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부모가 공부하고 방법을 고민한 뒤 지시가 아닌 아이와의 소통을 통해 함께 결정해 나갈 것을 권하고 싶다.
2014-12-0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