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용원 한국문화원연합회장
사회 곳곳에서 개인주의의 부정적 현상들이 가시처럼 돋아나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에게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작은 희망이 하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전국 31개 마을 동아리와 함께 펼치는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가 그것이다.
올해로 6년째 임대 아파트, 서민 주택 밀집지역, 농산어촌 등 전국의 문화 소외 지역을 지원한다.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으로 이웃과 소통하고 마을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이다. 전국 229개 지방문화원을 통해 지역 문화와 정서를 잘 아는 한국문화원연합회가 주관해 소통과 지원이 어느 사업보다 원활하다고 자부한다.
생활문화공동체 사업의 특징은 주민 스스로 마을 문제를 찾아내 주체적으로 해결한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청소년 자녀를 둔 경기 부천시 역곡동 주부들은 관내에 보호관찰소가 있다는 이유로 마음 한쪽이 늘 불안했다. 하지만 스스로 기획한 ‘사람 톡톡’이라는 인터뷰 프로그램을 통해 보호관찰소장과 대화를 나누게 되면서 오해를 풀고 협력 방안을 모색하게 됐다.
마을 단체나 동아리의 문화예술 행사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다문화 가족이 많아 갈등이 적지 않았던 마을의 경우 서로에게 언어를 가르쳐 주며 마을 발전을 논의하는 ‘인문학 강좌’가 열렸다. 원주민과 불편한 관계였던 이주 예술인들은 ‘동네 주민음악회’를 기획해 어르신들을 모셨고 어르신들은 이 자리에서 아코디온을 연주하고 트로트를 부르며 닫혔던 마음의 문이 서서히 열렸다.
마을 사업 연구컨설팅기관에 따르면 생활문화공동체 사업을 시행한 마을은 그러지 않은 마을보다 주민 교류가 60% 많았다. 공동체 소속감과 자긍심도 61.7점으로 사업이 이뤄지지 않은 마을의 52.3점보다 높았다.
마을은 인류가 만든 아주 오래된 공동체로 국가를 구성하는 중요한 뿌리다. 국가가 몸이라면 마을은 세포나 다름없다. 국가적인 질병을 마을에서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부터라도 산업화와 정보화 시대의 파고에 밀려 부서지고 사라지는 마을공동체를 부활시키고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을공동체는 소통과 화합을 이뤄 내는 작은 열쇠다.
2014-11-2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