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투명 망토의 가능성 연 ‘발상의 전환’/김류선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술사업화단장

[기고] 투명 망토의 가능성 연 ‘발상의 전환’/김류선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술사업화단장

입력 2014-11-19 00:00
수정 2014-11-1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설과 영화 ‘해리포터’에 나오는 투명 망토. 누구나 상상해 왔던 것이지만 그 누구도 가능할 것이라고 엄두조차 내지 못한 상상 속의 물건일 뿐이었다. 그런데 얼마 전 이 투명화 기술을 구현한 장비 ‘로체스터의 망토’가 등장해 세간에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이미지 확대
김류선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술사업화단장
김류선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술사업화단장
이 상상 속의 물건을 현실화한 것은 다름 아닌 어디서든 구할 수 있는 값싼 렌즈였다. ‘로체스터의 망토’는 빛의 굴절을 이용해 손, 얼굴, 자 등을 시야에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기술의 핵심 원리인 빛의 굴절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초등학교 시절 배웠던 것이지만 3차원 투명화 기술까지 발전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아직은 작은 렌즈로 손, 얼굴 등 신체나 물체의 일부분을 가리는 수준만 가능하지만 앞으로 이 기술은 의료용에서 인테리어 디자인까지 상당히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처럼 쉽게 해결할 수 없었던 부분, 또는 불가능이라고 생각했던 분야에서 의외로 쉽고 상식적인 기술을 활용하는 발상의 전환이 빛을 발하곤 한다. 천재성 있는 특별한 사람만이 혁신적인 것을 개발해 내고 창의력과 아이디어가 풍부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창조성과 아이디어는 선천적인 것이라기보다는 후천적인 것이다. ‘로체스터의 망토’가 어디서든 쉽게 구할 수 있는 렌즈로 개발된 것처럼 누구나 ‘발상의 전환’으로 창조성을 발휘할 수 있다.

그렇다면 발상의 전환을 위해서는 어떤 것이 필요할까. 한 발짝 떨어져 ‘나무가 아닌 숲을 보는’ 태도가 해답이다. 최근 각광받는 융합형 창의 인재에게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뿐 아니라 인문학적 소양이 요구되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인문학적 소양은 나무가 아닌 광범위한 숲, 즉 생각의 범위를 넓혀 준다. 기술 개발도 중요하지만 실제 생활에서 그 기술이 활용되는 모습을 그릴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기술 자체를 넘어 그 기술을 사용하는 사회와 대중을 모두 이해할 때 비로소 아이디어의 완성을 이뤄 낼 수 있다.

앞으로는 로봇 또는 기계가 인간의 단순 노동력을 대체해 가면서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창조성의 중요성이 자연스레 높아질 것이다. 또한 소비 성향의 개인화, 3D 프린팅 등 제조기법의 혁신과 기본 인프라 비용 절감으로 벤처기업 등이 증가할 것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아이디어 경쟁은 더더욱 치열해질 것이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2009년부터 전 세계 각국의 창의융합형 인재들을 초청해 독특한 콘셉트의 강연과 시연을 펼치는 ‘테크플러스’를 추진해 왔다.

올해는 ‘로체스터의 망토’를 개발한 조지프 최 등이 상상 속에서나 존재할 것 같은 기술들을 국내에 처음 선보일 계획이다.

기술자·기업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전 세계의 주목을 받을 만한 창의융합형 인재가 될 수 있다. ‘테크플러스’를 통해 먼 곳이 아닌 가까운 곳에서 시작되는 ‘창조적 혁신’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고 일상에서도 발상의 전환을 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얻어 가길 바란다.
2014-11-1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