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비 분쟁에 北 공격 부추길 수도
한미일 안보 강화, 핵 군축 대비를
미국 공화당 유력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유세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4.2.10 AFP 연합뉴스
트럼프의 위험한 동맹관은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그는 2017년 대통령에 취임한 이후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2%까지 증액하라고 나토를 압박했다. 한국에는 방위비 분담금 100% 부담을 요구하고 그러지 않으면 주한미군을 철수하겠다고 겁박했다. 우리도 방위비 분담금을 증액할 수밖에 없었다. 오죽하면 7년 전 트럼프와 맞붙었던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 후보가 트럼프가 동맹을 ‘하청업자’ 취급하는 것은 미국과 세상을 덜 안전하게 만들 것이라면서 “동맹이 깨지기만을 바라는 러시아와 중국의 손에 놀아나는 것”이라고 비판했을까.
트럼프는 4년 전 대선 여론조사에선 바이든에 시종일관 뒤졌으나 이번에는 우세를 보인다. 그의 재집권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러시아 공격 독려’는 가볍게 넘길 수 없다. 미국과의 동맹을 ‘비즈니스’로 접근하는 그가 재집권 중에 한국에 방위비 추가 부담, 주한미군 감축 등을 요구하며 “방위비 안 내면 북한에 한국 공격을 독려하겠다”는 말폭탄을 던지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다. 미국으로부터 핵보유국 인정을 받고 싶어 하는 북한 김정은에게 한반도 정세를 오판하는 빌미를 줄 수 있다.
‘트럼프 리스크’는 대한민국 안보의 엄연한 현실이다. 지난해 8월 한미일 정상의 ‘캠프데이비드 합의’는 3국의 안보 결속을 강화했다. 트럼프의 나토 침공 독려가 지금은 수사에 불과할지라도 집권하면 한미일 합의를 흔드는 시도를 할 수도 있다. 3국 안보체제의 공고화가 과제다. 미국과 결합한 한일의 군사·경제적 가치를 그와 안보 참모들이 모를 리 없으나 합의 유지의 대가를 요구할 공산이 크다. 주한미군 부담을 줄이는 차원에서 대북 제재 해제를 대가로 북한과 핵군축을 논의하는 시나리오에도 대비해야 한다. 비핵화를 포기한다면 우리의 단독 핵무장은 불가피해진다.
2024-02-1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