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대학병원에서 수련하는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이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방침에 반대하며 오는 21일부터 무기한 업무 중단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국내 전공의 수련 과정은 인턴 1년, 레지던트 4년 등 총 5년인데 수련 연차에 따라 날짜별로 단체행동에 돌입해 23일 이후에는 모든 전공의들이 무기한 업무를 중단한다고 한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정부에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한방첩약 급여화 등을 의료계와 전면 재논의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전공의들은 수련 과정이 끝나면 곧바로 의료 현장에서 생업에 종사한다는 점에서 의대 정원 확대의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것은 분명하다. 의사 숫자가 늘어나면 월 보수를 비롯해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들이는 ‘1차 충격’의 직접 당사자이기 때문에 그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단체행동에 참여할 여지가 크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그 어떤 단체행동도 명분과 시기가 어긋난다면 국민의 동의를 얻기는 힘들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며칠 전부터 사실상 코로나19의 2차 대유행이 시작돼 매일 신규 감염자가 100명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특히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감염 확산 추세가 심상치 않은 실정이다. 당연히 치료 병상과 인력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걱정이 커질 수밖에 없다. 수도권 감염병 전담 병상은 1479개인데 이미 사용 중인 병상을 제외한 가용 병상은 797개(53.9%)에 불과하다고 한다. 일반 환자도 써야 하는 중환자용 병상은 수도권에 339개이며 이 중 사용 가능한 것은 97개(28.6%)뿐이다. 감염환자 폭증 추세를 감안하면 곧 만원이 될 것이다. 올초 대구·경북에서처럼 환자가 병원도 못 가보고 집에서 숨지는 사태가 재발할 여지도 충분하다.
전공의들은 수술과 진료를 보조하고, 입원 환자의 상태를 점검하는 등 일선 의료 현장의 최선봉에 있다. 이들이 업무를 놓는다면 코로나19 2차 대유행에 따른 병상 부족 사태와 함께 의료 현장은 크나큰 혼란에 휩싸일 수밖에 없다. 지금은 단체행동에 돌입할 계제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해 주길 바란다.
전공의들은 수련 과정이 끝나면 곧바로 의료 현장에서 생업에 종사한다는 점에서 의대 정원 확대의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것은 분명하다. 의사 숫자가 늘어나면 월 보수를 비롯해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들이는 ‘1차 충격’의 직접 당사자이기 때문에 그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단체행동에 참여할 여지가 크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그 어떤 단체행동도 명분과 시기가 어긋난다면 국민의 동의를 얻기는 힘들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며칠 전부터 사실상 코로나19의 2차 대유행이 시작돼 매일 신규 감염자가 100명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특히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감염 확산 추세가 심상치 않은 실정이다. 당연히 치료 병상과 인력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걱정이 커질 수밖에 없다. 수도권 감염병 전담 병상은 1479개인데 이미 사용 중인 병상을 제외한 가용 병상은 797개(53.9%)에 불과하다고 한다. 일반 환자도 써야 하는 중환자용 병상은 수도권에 339개이며 이 중 사용 가능한 것은 97개(28.6%)뿐이다. 감염환자 폭증 추세를 감안하면 곧 만원이 될 것이다. 올초 대구·경북에서처럼 환자가 병원도 못 가보고 집에서 숨지는 사태가 재발할 여지도 충분하다.
전공의들은 수술과 진료를 보조하고, 입원 환자의 상태를 점검하는 등 일선 의료 현장의 최선봉에 있다. 이들이 업무를 놓는다면 코로나19 2차 대유행에 따른 병상 부족 사태와 함께 의료 현장은 크나큰 혼란에 휩싸일 수밖에 없다. 지금은 단체행동에 돌입할 계제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해 주길 바란다.
2020-08-1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