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살면 내일이 오늘보다 나을 것이라는 희망은 강건한 사회를 만드는 씨앗이다. 그런 맥락에서 통계청의 ‘2019 사회조사’ 결과를 보자면 암담함을 떨치기 어렵다. 자식 세대의 계층 상승 이동 가능성에 대해 ‘더 높아질 것’이라고 답변한 사람은 28.9%에 그쳤다. 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이 자신의 자식이 계층 상승을 할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금수저, 흙수저 등의 자조 섞인 말들이 괜히 확산한 게 아니었다.
이번 조사에서 자식 세대의 계층 이동 가능성에 대한 긍정 답변은 2년 전보다 0.4% 포인트 줄었으며, 10년 전보다는 무려 20% 포인트나 급감했다. 아무리 노력한들 자식들이 나보다 더 잘살 수 있다는 기대를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자신이 상층이라고 생각할수록 본인과 자식 세대의 계층 이동 가능성을 높게 봤고, 그 반대 경우는 낮게 봤다. 현실만큼이나 인식에서도 ‘수저계급론’이 빠르게 뿌리내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끊어진 계층 이동 사다리는 사회의 활력을 심각하게 저해시킨다는 점에서 방치할 수 없는 사회악이다. 젊은이들 사이에서 ‘헬조선’이라는 용어가 일상 언어로 굳어지는 세태야말로 노력의 결과를 얻을 수 없어진 우리 사회의 한 단면으로 읽어야 한다. 부모의 경제력이 그대로 자식의 미래를 결정짓는 참담한 실제 사례들이 사회지도층 인사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불거지고, 치솟는 아파트값과 부동산 광풍 속에서 ‘부동산=사다리’라는 인식이 팽배한 현실이다. 결혼과 출산을 기피하는 현상은 계층 이동 사다리가 무너진 실상과 결코 동떨어진 이야기일 수 없다.
통계청의 현실 조사는 정부의 정책에 다각도로 스며들어 계층 고착화를 완화하는 장치로 활용돼야 의미가 있다. 정부와 정치권은 사회 양극화를 해소할 정책을 개발하고 추진하는 데 전력해야 한다. 사다리가 복원된 사회여야 희망을 말할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 자식 세대의 계층 이동 가능성에 대한 긍정 답변은 2년 전보다 0.4% 포인트 줄었으며, 10년 전보다는 무려 20% 포인트나 급감했다. 아무리 노력한들 자식들이 나보다 더 잘살 수 있다는 기대를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자신이 상층이라고 생각할수록 본인과 자식 세대의 계층 이동 가능성을 높게 봤고, 그 반대 경우는 낮게 봤다. 현실만큼이나 인식에서도 ‘수저계급론’이 빠르게 뿌리내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끊어진 계층 이동 사다리는 사회의 활력을 심각하게 저해시킨다는 점에서 방치할 수 없는 사회악이다. 젊은이들 사이에서 ‘헬조선’이라는 용어가 일상 언어로 굳어지는 세태야말로 노력의 결과를 얻을 수 없어진 우리 사회의 한 단면으로 읽어야 한다. 부모의 경제력이 그대로 자식의 미래를 결정짓는 참담한 실제 사례들이 사회지도층 인사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불거지고, 치솟는 아파트값과 부동산 광풍 속에서 ‘부동산=사다리’라는 인식이 팽배한 현실이다. 결혼과 출산을 기피하는 현상은 계층 이동 사다리가 무너진 실상과 결코 동떨어진 이야기일 수 없다.
통계청의 현실 조사는 정부의 정책에 다각도로 스며들어 계층 고착화를 완화하는 장치로 활용돼야 의미가 있다. 정부와 정치권은 사회 양극화를 해소할 정책을 개발하고 추진하는 데 전력해야 한다. 사다리가 복원된 사회여야 희망을 말할 수 있다.
2019-11-2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