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연천군에서 그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예방 차원에서 살처분된 돼지 사체에서 흘러나온 붉은 침출수(핏물)가 임진강 지류 하천을 오염시키는 어처구니없는 사고가 발생했다. 침출수가 유출된 임진강 지류 마거천과 연결된 실개천 100∼200m 구간은 핏빛으로 물들었다. 침출수 유출 지점은 임진강과 10여㎞, 임진강 상류 상수원과는 직선거리로 8㎞가량 떨어져 있다. 경기도와 연천군은 황급히 오염수 펌핑 작업을 하고 펜스를 설치했으나 침출수의 일부는 이미 상수원인 임진강 상류에 유입됐다.
이번 사고는 살처분 후 2만여 마리의 돼지 사체를 군부대 공터에 모아 뒀는데 비가 내리면서 핏물이 인근 하천으로 흘러 들어간 것이다. 공터에 임시로 돼지 사체를 방치해 둔 이유는 매몰에 사용할 용기 제작이 늦어진 탓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의 확산을 막겠다며 예방적 살처분을 서두르다 일어난 사고다. 온 국민이 가축 전염병 확산을 우려하며 안타까운 마음으로 지켜보는 방역 작업을 이렇게 주먹구구식으로 진행해 왔다니 한심하기 짝이 없다.
게다가 사고 지점에서 멀지 않은 곳에 상수원이 있으니 주민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 방역 당국과 지자체가 오염된 하천수에 대한 방제 조처를 했다고는 하지만 보기에도 끔찍한 핏물과 돼지 사체들을 떠올릴 수밖에 없는 국민들은 착잡하기 이를 데 없다. 방역 당국과 지자체는 이번 사고로 핏물이 유출된 마거천과 임진강 일대의 물을 채수해 수질검사를 진행하고 있지만 전염병 확산이나 인체에는 피해가 없다고 주장한다. 수질검사는 확실하게 안전하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당분간 계속돼야 할 것이다.
국민과 축산 농민들은 가축 전염병이 발생할 때마다 반복되는 살처분 방식의 방역 작업에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살처분에 참여한 공무원과 공중방역 수의사의 76%가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겪고, 중증 우울증이 의심되는 응답자가 23.1%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차제에 살처분에 의존해 온 기존 방역체계에 병행해 소각제 도입 등도 따져 보길 바란다.
이번 사고는 살처분 후 2만여 마리의 돼지 사체를 군부대 공터에 모아 뒀는데 비가 내리면서 핏물이 인근 하천으로 흘러 들어간 것이다. 공터에 임시로 돼지 사체를 방치해 둔 이유는 매몰에 사용할 용기 제작이 늦어진 탓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의 확산을 막겠다며 예방적 살처분을 서두르다 일어난 사고다. 온 국민이 가축 전염병 확산을 우려하며 안타까운 마음으로 지켜보는 방역 작업을 이렇게 주먹구구식으로 진행해 왔다니 한심하기 짝이 없다.
게다가 사고 지점에서 멀지 않은 곳에 상수원이 있으니 주민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 방역 당국과 지자체가 오염된 하천수에 대한 방제 조처를 했다고는 하지만 보기에도 끔찍한 핏물과 돼지 사체들을 떠올릴 수밖에 없는 국민들은 착잡하기 이를 데 없다. 방역 당국과 지자체는 이번 사고로 핏물이 유출된 마거천과 임진강 일대의 물을 채수해 수질검사를 진행하고 있지만 전염병 확산이나 인체에는 피해가 없다고 주장한다. 수질검사는 확실하게 안전하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당분간 계속돼야 할 것이다.
국민과 축산 농민들은 가축 전염병이 발생할 때마다 반복되는 살처분 방식의 방역 작업에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살처분에 참여한 공무원과 공중방역 수의사의 76%가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겪고, 중증 우울증이 의심되는 응답자가 23.1%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차제에 살처분에 의존해 온 기존 방역체계에 병행해 소각제 도입 등도 따져 보길 바란다.
2019-11-13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