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반복될 폭염, 후진국형 전염병 대책 세워야

[사설] 반복될 폭염, 후진국형 전염병 대책 세워야

입력 2016-08-29 22:32
수정 2016-08-29 22: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여름에 우리는 폭염도 심각한 재난일 수 있다는 사실을 절감했다. 전례 없는 폭염에서 가까스로 벗어나고는 있지만 마음을 놓을 수가 없다. 한반도를 찜통으로 달군 이런 폭염은 앞으로도 빈번해질 것이라는 전망에 두렵기까지 하다. 올해만 넘겼다고 한시름 놓을 일이 아니라 폭염 대비책이 단단히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국립재난연구원에 따르면 폭염은 해마다 강해져 2029년에는 폭염 연속 일수가 연간 10.7일로 늘어날 전망이다. 폭염을 견디지 못한 온열 질환 사망자 수도 100명에 육박할 것이라고 한다. 상황은 갈수록 심각해져 2050년이면 폭염 연속 일수가 무려 20.3일, 사망자 수는 250명이 넘을 거라는 예측이다. 한반도 기온 변화를 고려한 시뮬레이션 결과치에 섬뜩해진다. 앞으로는 폭염 대피 이민을 가야 할지도 모른다는 우스갯말이 도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사정이 이런데 전에 없던 전염병까지 겹치니 더욱 불안하다. 국내에서 15년 만에 콜레라가 자체 발생한 데 이어 A형 간염, 레지오넬라증 집단 감염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콜레라, 진드기 질환 등 후진국형 전염병이 잇따르고 있는 현실은 경각심을 더한다. 극심한 기후변화로 감염병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는 전문가들의 경고를 예사로 들어서는 안 된다. 지구온난화로 예측하지 못한 질환들이 극성을 부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결핵, 말라리아 환자가 예년보다 훨씬 많아지고 있는 것도 우연일 수 없다. 이런 현상은 비단 국내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미국 알래스카에서도 장염을 일으키는 비브리오균이 발견된다는 보고가 잇따르고 있다.

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면 앉아서 속수무책으로 당하지는 않아야 한다. 국가적 차원의 폭염 대비책을 고민하지 않고서는 인적·물적 피해가 사회 곳곳에서 속출할 것이 뻔하다. 기상이변에 대한 국가 시스템이 얼마나 허술한지 확인했으면서도 무방비로 내년 여름을 맞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오보청으로 전락한 기상청의 못 믿을 기상 예보부터 당장 신뢰 수준을 끌어올리는 작업이 시급하다. 환경부와 국민안전처 등 관련 당국이 지역별로 폭염 대비책을 마련하는 선제적 대응도 절실하다. 핵무기만 무서운 게 아니다. 기후 안보가 위협받는 줄 알면서도 국가적 인프라 구축 없이 시간만 보낸다면 시한폭탄이 터지기를 손 놓고 기다리는 것과 다를 게 없다.
2016-08-3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