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허사비스 같은 인재 우리는 왜 못 키우나

[사설] 허사비스 같은 인재 우리는 왜 못 키우나

입력 2016-03-11 20:38
수정 2016-03-11 2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그제 이세돌 9단이 인공지능(AI) 대국 프로그램 알파고에게 충격의 2연패를 당했다. ‘인류 대표’로 나선 그가 힘 한번 못 쓰고 무너지자 일반 관전자들은 물론이고 프로 바둑기사들 사이에서도 “으스스하다”는 탄식이 절로 나왔다. 구글의 딥마인드팀이 만든 두 살배기 알파고가 바둑계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에 경종을 울린 셈이다. 한국은 언필칭 정보기술(IT) 강국이다. 그러나 알파고의 아버지 격인 데미스 허사비스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 같은 창의적 인재를 길러내지 못한 한국 사회라면 구성원 모두가 커다란 위기감을 느낄 수밖에 없을 게다.

내리 불계패한 이 9단은 “충분히 놀라 할 말이 없을 정도가 됐다”고 완패를 시인했다. 하지만 정작 참담한 심경을 곱씹어야 할 쪽은 그가 아니라 우리 교육계여야 할 듯싶다. 허사비스는 어릴 적엔 서양 장기인 체스 신동이었으나, 게임 개발자로 명성을 날린 후 뇌과학을 전공한 융합의 귀재였다. 우리처럼 틀에 박힌 교육 시스템에서는 나올 수 없는 이단아였다. 반면 이른바 4차 산업혁명이 운위되고 있는 지금 우리나라는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 클라우드컴퓨팅 등 융합 기술 분야에서 세계 수준을 밑돌고 있지 않나. 우리가 언제까지 허사비스와 같은 청년의 자유분방함을 용인한 영국이나 미국의 IT 생태계를 부러워만 할 것인가.

특히 그제 보도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김성숙 선임연구위원의 연구 결과를 보라. 만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한 2012년 국제학업성취도 평가(PISA)에서 한국이 최상위권이긴 했다. 그러나 우리 청소년들은 사교육 효과로 학업 성취도가 높지만 성인이 된 후엔 역량이 크게 떨어진다는 게 문제다. 공교육 비중이 높은 핀란드와 일본은 성인이 돼서도 문제 해결력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상위권을 유지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사교육과 주입식 공부에 길들여져 창의성을 배양하지 못하니 우리가 과학 분야에서 여태껏 노벨상 하나 타지 못하는 게 아닌가. 이웃 일본은 해마다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는 데도 말이다.

이쯤 되면 현 정부에 이르기까지 역대 정부 교육 정책 입안자들과 일선 교육계가 참회록을 써도 모자랄 일이 아닌가. 어쩌면 사설 학원 종사자들뿐만 아니라 내 자식의 눈앞의 성적을 올리는 데 급급해 함께 제로섬 게임을 벌인 학부모들도 공교육을 무너뜨린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새로운 것에 대한 탐구와 도전 정신을 심어 주도록 공교육 현장을 일대 혁신해야 한다는 게 알파고가 던져 주는 진정한 교훈이라고 본다.
2016-03-12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