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관광산업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다. 관광산업은 어느 분야보다도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황금산업’이다. 지난 수년간 한류 붐을 타고 밀려드는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로 국내 관광산업은 더욱 주목받는 처지가 됐다. 올해 춘제(春節·중국 설) 연휴 기간에도 13만명의 중국인 관광객이 한국을 찾을 것이라고 한다. 이른바 유커 600만명 시대다.
관광·유통·서비스 등 우리 내수산업이 유커에 힘입어 상당한 특수를 누려 온 게 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흐름이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16개국의 중국 관광객 설문 결과 한국을 다시 찾고 싶다는 응답은 조사 대상 16개국 중 14위로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바가지 상혼은 여전한 문제점으로 꼽힌다. 최근 유커의 ‘탈(脫)호텔’ 알뜰여행 추세가 뚜렷함에도 적정한 가격의 숙박 인프라는 태부족인 실정이다. 유적지를 설명하는 관광 가이드가 “한글은 세종대왕이 술을 마시다가 네모난 창살을 보고 만들었다”는 황당한 설명을 늘어놓는 판이니 우리 관광 인프라의 현주소가 얼마나 저열한 수준인지 짐작하고도 남는다.
정부는 2017년까지 외래 관광객 2000만명을 유치하겠다는 목표를 세워 놓고 있다. 앞으로 한국 방문 유커는 연평균 17%씩 늘어 2020년에는 1500만명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유커가 모든 관광정책의 만능키가 되다시피 하는 현실은 관광산업의 외연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물론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지구촌 유커 시대의 현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으니 맞춤형 정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 된다. 진화하는 유커를 상대로 한 관광산업이 지속 가능한 형태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창조적 혁신 노력이 필요하다. 지난해 외국인 관광객은 1400만명을 돌파했다. 문제는 양적 팽창에 걸맞은 질적 성장이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류 드라마나 케이팝 등에 기대어 손쉽게 중국 관광객을 불러들이고 저부가가치 단순 쇼핑에 나서게 해 이득을 보는 단계는 이미 지났다. 교통·숙박 등 인프라 개발과 함께 판박이 한류 콘텐츠의 식상함에서 벗어난 다양한 고품질 융복합 관광상품을 만들어 내야 한다. 진정한 우리 문화를 팔아야 한다. 관광산업 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풀기 위한 법적·제도적 노력도 한층 강화해야 할 것이다.
관광·유통·서비스 등 우리 내수산업이 유커에 힘입어 상당한 특수를 누려 온 게 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흐름이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16개국의 중국 관광객 설문 결과 한국을 다시 찾고 싶다는 응답은 조사 대상 16개국 중 14위로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바가지 상혼은 여전한 문제점으로 꼽힌다. 최근 유커의 ‘탈(脫)호텔’ 알뜰여행 추세가 뚜렷함에도 적정한 가격의 숙박 인프라는 태부족인 실정이다. 유적지를 설명하는 관광 가이드가 “한글은 세종대왕이 술을 마시다가 네모난 창살을 보고 만들었다”는 황당한 설명을 늘어놓는 판이니 우리 관광 인프라의 현주소가 얼마나 저열한 수준인지 짐작하고도 남는다.
정부는 2017년까지 외래 관광객 2000만명을 유치하겠다는 목표를 세워 놓고 있다. 앞으로 한국 방문 유커는 연평균 17%씩 늘어 2020년에는 1500만명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유커가 모든 관광정책의 만능키가 되다시피 하는 현실은 관광산업의 외연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물론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지구촌 유커 시대의 현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으니 맞춤형 정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 된다. 진화하는 유커를 상대로 한 관광산업이 지속 가능한 형태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창조적 혁신 노력이 필요하다. 지난해 외국인 관광객은 1400만명을 돌파했다. 문제는 양적 팽창에 걸맞은 질적 성장이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류 드라마나 케이팝 등에 기대어 손쉽게 중국 관광객을 불러들이고 저부가가치 단순 쇼핑에 나서게 해 이득을 보는 단계는 이미 지났다. 교통·숙박 등 인프라 개발과 함께 판박이 한류 콘텐츠의 식상함에서 벗어난 다양한 고품질 융복합 관광상품을 만들어 내야 한다. 진정한 우리 문화를 팔아야 한다. 관광산업 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풀기 위한 법적·제도적 노력도 한층 강화해야 할 것이다.
2015-02-1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