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은 4년 과정이지만, 요즘 4년 만에 졸업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오히려 대학을 5~6년씩 다니는 것이 자연스러운 세상이 됐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등록금을 벌고자 휴학해 아르바이트 전선에 나서는 학생이 적지 않다. 생활고에 시달리지 않더라도 어학연수를 비롯해 취업에 필요한 ‘스펙’을 쌓으려면 휴학이 불가피하다. 이렇게 휴학과 복학을 되풀이하며 졸업에 필요한 학점을 이수해도 취업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학문을 나서겠다고 결심하는 것은 쉽지 않다. 우선 수입이 없는 마당에 비용을 들이지 않고 공부할 수 있는 장소로 학교 도서관만 한 곳이 없다. 여기에 취업 정보라도 수집하려면 비슷한 처지의 취업 준비생들이 모이는 학교가 그래도 유리하다. 겪어 보지 못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취업 준비생들에게 대학 캠퍼스는 마지막 보루와도 같다.
그런데 일부 대학이 취업 준비생의 보호자 역할을 포기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하니 안타까운 일이다. 이화여대는 새 학기부터 졸업 학점을 이수한 학생은 재학생 신분을 유지할 수 없는 ‘과정 수료제’를 도입하기로 했다고 한다. 1학점 이상을 추가 신청하고 등록금을 내야 졸업을 유예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재학생으로 남으려면 한 학기 60만원 안팎의 등록금을 내야 한다니 학생들은 반발한다. 앞서 건국대도 졸업을 늦추는 학생들의 부담을 크게 늘리는 방안을 추진해 학생회 차원의 반발을 부르기도 했다. 대학들은 졸업을 미루는 학생이 늘어나면 학사 관리 비용이 늘어나고, 도서관이나 식당 같은 시설의 추가 투자도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이유를 내세운다. 하지만 적립금을 천문학적 수준으로 불려 놓고 쓸 곳을 찾지 못하는 사립대학들이 어려운 처지에 놓인 취업 준비생을 도와주지는 못할망정 마지막 쪽박까지 깨겠다는 것은 어이없다.
대학생들이 졸업을 미루는 것은 일부 대기업의 이해하지 못할 취업 자격 조건 때문이기도 하다. 재학생 지원만 허용하고 졸업생은 원서조차 받아 주지 않는 관행을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 재학생을 줄이려는 대학들의 속내가 교수 1인당 학생 수가 늘어나는 데 따른 정부 평가의 불이익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그렇다면 교육부도 현실을 직시하고 이 대목의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 취업 준비생을 격려해도 시원치 않은 판국에 오히려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으니 세대 간 갈등도 커지는 것이다. 바로잡기 바란다.
그런데 일부 대학이 취업 준비생의 보호자 역할을 포기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하니 안타까운 일이다. 이화여대는 새 학기부터 졸업 학점을 이수한 학생은 재학생 신분을 유지할 수 없는 ‘과정 수료제’를 도입하기로 했다고 한다. 1학점 이상을 추가 신청하고 등록금을 내야 졸업을 유예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재학생으로 남으려면 한 학기 60만원 안팎의 등록금을 내야 한다니 학생들은 반발한다. 앞서 건국대도 졸업을 늦추는 학생들의 부담을 크게 늘리는 방안을 추진해 학생회 차원의 반발을 부르기도 했다. 대학들은 졸업을 미루는 학생이 늘어나면 학사 관리 비용이 늘어나고, 도서관이나 식당 같은 시설의 추가 투자도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이유를 내세운다. 하지만 적립금을 천문학적 수준으로 불려 놓고 쓸 곳을 찾지 못하는 사립대학들이 어려운 처지에 놓인 취업 준비생을 도와주지는 못할망정 마지막 쪽박까지 깨겠다는 것은 어이없다.
대학생들이 졸업을 미루는 것은 일부 대기업의 이해하지 못할 취업 자격 조건 때문이기도 하다. 재학생 지원만 허용하고 졸업생은 원서조차 받아 주지 않는 관행을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 재학생을 줄이려는 대학들의 속내가 교수 1인당 학생 수가 늘어나는 데 따른 정부 평가의 불이익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그렇다면 교육부도 현실을 직시하고 이 대목의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 취업 준비생을 격려해도 시원치 않은 판국에 오히려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으니 세대 간 갈등도 커지는 것이다. 바로잡기 바란다.
2015-01-0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