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아시안게임이 그제 폐막했다. 대회 일정으로 따지면 16일에 불과한 열전의 드라마였으나 2005년 대회를 유치한 인천으로서는 장장 9년에 걸친 대역사의 막을 내리게 된 셈이다.
여느 대회나 마찬가지로 이번 인천 아시안게임 역시 뚜렷한 명과 암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 경기력 차원에서 비인기 종목의 분전으로 종합 2위 목표를 무난히 달성한 점은 모든 국민이 축하할 일이다. 경기 외적으로도 ‘안전’과 ‘환경’에 있어서 좋은 점수를 줄 만했다. 아시안게임으로는 처음 국제표준화기구(IS0)로부터 친환경 국제인증을 받음으로써 친환경 스포츠 제전의 모델이 된 점은 의미가 크다. 스포츠 불모국들에 대한 자금 지원으로 스포츠 외교의 지평을 넓힌 점도 평가할 일이다. 인천의 도시기반과 브랜드가 한 단계 도약하게 된 점도 성과임이 틀림없다. 그리고 무엇보다 대회 막판 북 최고위급 인사들의 갑작스러운 방한으로 남북 간 대화의 물꼬가 트이게 된 점은 스포츠 축제만이 안겨줄 수 있는 망외의 기쁜 선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초반부터 대회 조직위원회의 미숙한 운영이 불거지는 등 아쉬운 점도 없지 않았다. 특히 인천시 재정규모를 뛰어넘는 과잉 시설투자의 부작용을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국비 지원분을 제하고 지방채 발행으로 조달한 1조 7224억원의 경기장 건설 비용에다 도시철도 건설비 등을 얹어 내년부터 한 해 5400억원의 원리금을 갚아나가야 한다. 대회 개최의 경제적 파급 효과는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데 비해 당장은 재정 압박이 인천시민들에게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정부와 인천시가 함께 고민해야 할 과제다.
인천 아시안게임의 명암을 4년 앞으로 다가온 평창 올림픽의 반면교사로 삼는 지혜가 절실하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어제 평창을 찾아 크게 우려했듯 지금 평창 올림픽 준비는 동맥경화에 걸려 있다는 얘기가 나올 만큼 지지부진하다. 주경기장은 설계조차 안 돼 있고, 도로나 숙소 등 기반시설도 무엇 하나 제대로 준비되는 게 없다. 국가적 관심도가 아직 낮은데다 대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사정도 있겠으나 강릉과 평창 간 스케이트장 건설 논란 등 소지역주의 갈등도 한몫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회 준비보다 더 걱정되는 건 대회 이후의 청사진이다. 아무 계획도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평창올림픽이 강원도의 재앙이 되지 않으려면 지금부터 범정부 차원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 정치권의 관심도 절실하다. ‘식물위원회’ 소리를 듣는 대회 조직위를 전면 개편, 파견공무원 수를 줄이고 민간 전문가를 대거 영입해 올림픽 준비와 대회 이후의 청사진을 다시 짜는 일이 그 첫걸음이어야 한다.
여느 대회나 마찬가지로 이번 인천 아시안게임 역시 뚜렷한 명과 암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 경기력 차원에서 비인기 종목의 분전으로 종합 2위 목표를 무난히 달성한 점은 모든 국민이 축하할 일이다. 경기 외적으로도 ‘안전’과 ‘환경’에 있어서 좋은 점수를 줄 만했다. 아시안게임으로는 처음 국제표준화기구(IS0)로부터 친환경 국제인증을 받음으로써 친환경 스포츠 제전의 모델이 된 점은 의미가 크다. 스포츠 불모국들에 대한 자금 지원으로 스포츠 외교의 지평을 넓힌 점도 평가할 일이다. 인천의 도시기반과 브랜드가 한 단계 도약하게 된 점도 성과임이 틀림없다. 그리고 무엇보다 대회 막판 북 최고위급 인사들의 갑작스러운 방한으로 남북 간 대화의 물꼬가 트이게 된 점은 스포츠 축제만이 안겨줄 수 있는 망외의 기쁜 선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초반부터 대회 조직위원회의 미숙한 운영이 불거지는 등 아쉬운 점도 없지 않았다. 특히 인천시 재정규모를 뛰어넘는 과잉 시설투자의 부작용을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국비 지원분을 제하고 지방채 발행으로 조달한 1조 7224억원의 경기장 건설 비용에다 도시철도 건설비 등을 얹어 내년부터 한 해 5400억원의 원리금을 갚아나가야 한다. 대회 개최의 경제적 파급 효과는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데 비해 당장은 재정 압박이 인천시민들에게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정부와 인천시가 함께 고민해야 할 과제다.
인천 아시안게임의 명암을 4년 앞으로 다가온 평창 올림픽의 반면교사로 삼는 지혜가 절실하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어제 평창을 찾아 크게 우려했듯 지금 평창 올림픽 준비는 동맥경화에 걸려 있다는 얘기가 나올 만큼 지지부진하다. 주경기장은 설계조차 안 돼 있고, 도로나 숙소 등 기반시설도 무엇 하나 제대로 준비되는 게 없다. 국가적 관심도가 아직 낮은데다 대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사정도 있겠으나 강릉과 평창 간 스케이트장 건설 논란 등 소지역주의 갈등도 한몫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회 준비보다 더 걱정되는 건 대회 이후의 청사진이다. 아무 계획도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평창올림픽이 강원도의 재앙이 되지 않으려면 지금부터 범정부 차원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 정치권의 관심도 절실하다. ‘식물위원회’ 소리를 듣는 대회 조직위를 전면 개편, 파견공무원 수를 줄이고 민간 전문가를 대거 영입해 올림픽 준비와 대회 이후의 청사진을 다시 짜는 일이 그 첫걸음이어야 한다.
2014-10-0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