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이 어제 발표한 국민 통일의식 조사 결과를 보면 미세하나마 몇 가지 의미 있는 변화가 감지된다. 무엇보다 북한을 ‘협력대상’으로 인식하는 국민이 늘었다. 지난 7월 1일부터 22일까지 전국의 성인 1200명이 참여한 이 조사에서 45.3%의 가장 많은 응답자가 북한을 ‘협력대상’으로 봤다. 지난해 같은 조사 때의 40.4%보다 5% 포인트 남짓 늘어난 것이다. 반면 북한을 ‘적대대상’으로 보는 응답자는 13.9%에 그쳤다. 지난 2012년 조사 때 10.9%에서 지난해 16.4%로 적대적 인식이 크게 늘었던 것과 비교하면 적지 않게 개선된 셈이다. 반면 북한을 ‘경계대상’으로 보는 인식이 21.2%에서 22.8%로 소폭 증가한 반면 북한 정권에 대한 신뢰도는 지난해 35.8%에서 올해 27.5%로 8.3% 감소한 점, 그리고 북한발 안보불안 의식이 지난해 66.0%에서 74.9%로 크게 늘어난 점 등을 감안하면 북한에 대한 경계심이 여전한 것으로 볼 수 있을 듯하다.
주목해 볼 대목은 장차 통일한국을 이끌어 나갈 청년세대, 특히 20대의 대북관이다. 다소 줄어들고는 있으나 북에 대한 적대감과 불신이 6·25전쟁을 경험한 60대 이상 세대보다 크다는 점이 눈에 띈다. 물론 이들 세대의 부정적 대북관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이 조사를 시작한 2009년 이후 20대는 대체로 50·60세대의 대북인식보다 부정적 태도를 보여왔다. 이번 조사에서도 북의 무력도발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다른 세대보다 많은 74.8%의 응답자가 ‘있다’고 답했다.
이 같은 조사내용은 지난 6~7월 통일부와 교육부가 전국의 초·중·고교생 11만 6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통일교육실태조사 결과와도 흐름을 같이한다. 당시 조사에서 북한을 ‘협력대상’으로 본다는 학생이 48.8%를 차지해 이번 서울대의 성인의식 조사와 엇비슷했으나 ‘적대대상’으로 본다는 답변의 경우 26.6%를 기록해 성인들에 비해 적대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도 절반 정도(53.5%)만이 ‘필요하다’고 답했고, 고학년일수록 통일 필요성을 낮게 봤다.
세대별 대북인식의 차이가 좁혀지고 있기는 하나 여전히 부정적인 10·20세대의 대북관은 우려스러운 일이다. 정부가 제아무리 ‘통일대박론’을 설파한들 미래세대가 이를 수용하지 않는다면 통일을 향한 동력은 그만큼 약화될 수밖에 없다. 통일준비위원회를 중심으로 미래세대의 보다 전향적인 통일의식을 위한 사회적 노력이 펼쳐져야 한다.
주목해 볼 대목은 장차 통일한국을 이끌어 나갈 청년세대, 특히 20대의 대북관이다. 다소 줄어들고는 있으나 북에 대한 적대감과 불신이 6·25전쟁을 경험한 60대 이상 세대보다 크다는 점이 눈에 띈다. 물론 이들 세대의 부정적 대북관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이 조사를 시작한 2009년 이후 20대는 대체로 50·60세대의 대북인식보다 부정적 태도를 보여왔다. 이번 조사에서도 북의 무력도발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다른 세대보다 많은 74.8%의 응답자가 ‘있다’고 답했다.
이 같은 조사내용은 지난 6~7월 통일부와 교육부가 전국의 초·중·고교생 11만 6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통일교육실태조사 결과와도 흐름을 같이한다. 당시 조사에서 북한을 ‘협력대상’으로 본다는 학생이 48.8%를 차지해 이번 서울대의 성인의식 조사와 엇비슷했으나 ‘적대대상’으로 본다는 답변의 경우 26.6%를 기록해 성인들에 비해 적대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도 절반 정도(53.5%)만이 ‘필요하다’고 답했고, 고학년일수록 통일 필요성을 낮게 봤다.
세대별 대북인식의 차이가 좁혀지고 있기는 하나 여전히 부정적인 10·20세대의 대북관은 우려스러운 일이다. 정부가 제아무리 ‘통일대박론’을 설파한들 미래세대가 이를 수용하지 않는다면 통일을 향한 동력은 그만큼 약화될 수밖에 없다. 통일준비위원회를 중심으로 미래세대의 보다 전향적인 통일의식을 위한 사회적 노력이 펼쳐져야 한다.
2014-10-0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