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년의 소통 가게] 걷기의 즐거움/광주대 교수

[윤석년의 소통 가게] 걷기의 즐거움/광주대 교수

입력 2021-09-07 20:14
수정 2021-09-08 1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윤석년 광주대 교수
윤석년 광주대 교수
몇 년 전 일이다. 언론중재위원으로 있을 때 중재부 위원장께서 하루 약 2만보를 걷는다는 얘기를 하면서 건강을 위해 매일 걸으라고 권유했다. 나이가 들수록 걷기와 수영 등 유산소 운동이 좋다는 정보는 익히 알고 있었지만, 당시에는 별로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지난해 초 막내가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헬스시계를 생일 선물로 사 주었다. 손에 시계를 차서 걸리적거리는 게 싫어서 집에 그냥 놔두었다. 코로나 사태로 점차 저녁 술자리 약속은 뜸해지고 대신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났다. 저녁 식사 후 산책을 시작하면서 하루에 얼마나 걸었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해서 헬스시계를 차고 걸음 수를 확인했다. 본격적인 걷기의 시작은 점심을 먹고 학교 교정에서였다. 비대면 수업으로 다소 한적해진 학교 캠퍼스는 걷기에 적합했다. 매일 교내를 한 바퀴 돌면서 하루 걸음 수를 체크했다. 모자란 걸음 수는 집에 도착해 동네 근처를 한두 바퀴 돌아서 해결했다.

비가 오면 하루 중 다소 잠잠해지는 시간에 우산을 지참하고 밖으로 나섰다. 날씨가 궂은 경우 학교 건물을 서로 연결하는 다리를 건너가면서 걸었다. 주말에는 장을 보러 가는 집사람을 따라 실내 공간이 넓은 대형할인점이나 백화점 등을 가거나 아니면 가까운 야외로 나갔다. 하루라도 걷지 않으면 몸이 근질근질했다. 아침에 일찍 눈이 뜨면 공원 산책을, 저녁 식사 후에는 소화시킬 겸 동네를 돌았다. 나이가 들면 여기저기서 건강에 적신호가 켜진다. 의자에 앉아서 일하는 직업의 성격상 대체로 몸을 잘 움직이지 않는다. 나이가 들면서 혈압 등 각종 지표는 정상 범위를 넘어선다. 과체중이고 체지방량도 다소 많은 편이었다.

1년 이상 매일 평균 8000보 내외를 걸었다. 몇 달 전 건강검진을 받을 때 각종 건강 지표가 개선되는 결과가 나왔다. 잠잘 때 코골이도 없어지고 피로감도 이전보다 덜하다. 분명 유산소 운동의 긍정적인 효과로 보인다. 몸무게도 1년 동안 약 5㎏이나 줄어들었다. 오랜만에 만난 지인들이 한결같이 살이 빠졌다는 얘기를 한다. 공항에서 신분증 검사를 할 때도 사진의 얼굴과 실제 얼굴이 다르게 보이는지 꼬치꼬치 본인 여부를 물어본다.

게다가 걷기를 하면서 남다른 즐거움도 있어 소소한 행복을 느낀다. 사시사철 계절의 변화무쌍함을 매일 만끽한다. 나무와 꽃들은 계절이 바뀔 때마다 새 옷을 갈아입는다. 매일 조금씩 바뀌는 게 무척 신기하다. 주말 공원의 아이들 웃음소리, 아침 운동할 때 일찍 출근하는 젊은이와 등교하는 어린 학생들의 씩씩함을 지켜보면서 우리 사회의 생동감을 확인할 수 있다. 걸으면서 혼자 여러 생각을 정리하는 기분도 꽤 괜찮다. 물론 공원을 산책하면서 눈살을 찌푸리는 장면도 목격된다. 군데군데 반려동물의 배설물이 보이고, 여기저기 쓰레기가 흐트러져 있다. 사회화가 덜 된 강아지가 산책 도중 낯선 사람을 볼 때마다 마구 짓는 등 듣기 싫은 소음이 산책 분위기를 거슬리게 한다.

나이가 들수록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은 분명 필요하다. 몇몇 지인들이 갑자기 운동을 과하게 하다가 몸을 심하게 다치는 경우도 더러 보았다. 나이가 들수록 힘든 운동보다는 걷기를 비롯한 가벼운 운동이 적합해 보인다. 과도한 운동보다는 하루 30~40분 정도 걷기만 해도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돌아가신 어머니께서 노년에 여기저기 몸이 불편해지면서 하신 말씀이 지금 와닿는다. 기계도 오래 쓰면 닳듯이 60년 이상 버텨 온 몸뚱이도 아껴서 쓸 필요가 있다는 말씀을 자주 하셨다. 나는 오늘 아침에도 어김없이 걷기를 위해 대문을 나선다. 가벼운 걷기를 하면서 오늘 하루를 어떻게 시작할지 찬찬히 생각해 본다.
2021-09-0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