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년의 소통 가게] SNS 소통예절

[윤석년의 소통 가게] SNS 소통예절

입력 2021-05-18 17:24
수정 2021-05-19 03: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윤석년 광주대 교수
윤석년 광주대 교수
지난 1년간 대학은 상당수 강의가 비대면으로 진행됐다. 실시간 강의 관련 앱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수강 학생수가 많은 강의는 대개 매주 녹화한 뒤 학교 온라인 사이트에 올려 학생들이 편리한 시간에 듣고 보도록 한다. 대면 강의보다 비대면 강의는 상대적으로 사전 준비 시간도 오래 걸리는 데다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기도 쉽지 않다.

이에 필자는 비대면 강의의 수강 태도를 알아보려는 의도로 녹화 강의 중간에 출석 확인 여부를 점검하려고 문자나 카톡 등으로 출석 확인을 했다. 강의 중간에 구두로 리포트를 알려 주거나 출석 확인 문자 등을 보내도록 해 비대면 강의에 집중한 학생들의 수강 태도를 살펴보았다. 대다수 학생이 대체로 강의를 듣고 리포트를 제출하거나 출석 확인 문자나 카톡을 보낸다. 수강 학생들의 문자나 카톡에 되도록 신속하게 응답하려고 한다. 이따금 강의 내용에 대한 질문도 문자로 던진다. 학기 말 강의 평가에서도 큰 불만이 없는 것으로 파악돼 소기의 목적은 달성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몇몇 학생들의 출석 확인 문자나 카톡이 심야나 새벽에 들어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심야에 강의를 듣고 본 학생들이 즉각 출석 확인 문자를 보내는 소리가 휴대전화에 울려 잠을 설치기도 한다. 문자 예약 기능이 있는데 굳이 밤늦은 시간과 새벽에 보내는 결례에 대해 응답 문자나 카톡에는 쓴소리로 응답한다. 특히 교양과목을 듣는 학생들은 자기 학과나 이름은 고사하고 무슨 과목을 수강하는지도 알리지 않고 덩그러니 출석 확인 문자만 남긴 경우도 더러 있다. 그래서 몇 주간 강의 진행 후 출석 확인 문자를 보낼 때 반드시 수강 과목은 물론 전공과 학번 그리고 이름을 표기하라는 당부를 거듭한다.

요즘 젊은이들은 부쩍 친구나 동기들 간에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통해 소통한다. 이들의 소통 방식은 기성세대가 이해할 수 없는 줄임말이나 초성 문자를 즐겨 사용한다. 이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기성세대는 미처 인지하지도 못한 이슈를 공론화하며, 궁금하지도 물어 보지도 않은 시시콜콜한 것도 재미있게 공유하기도 한다. 강의를 듣는 학생들도 자기 또래들의 줄임말로 문자나 카톡을 보낼 때가 가끔 있다. 나름 젊은층과의 공감대를 넓히는 노력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쏟아지는 줄임말에 가끔 당황하기도 한다. 유행처럼 사용하는 줄임말을 쫓아가기도 버겁다.

줄임말이나 초성 문자 등에 대한 세대 공감은 못하더라도 SNS를 통한 소통에서 최소한의 예절은 세대를 떠나 모두의 공감이 필요하다. 먼저 소통하는 시간 문제다. 밤늦은 시간이나 꼭두새벽은 되도록 피해야 한다. 특히 여러 명이 공유하는 단체 소통 공간의 경우다. 지인들과의 단톡방에 밤늦은 시간이나 새벽에 뜬금없이 올린 카톡을 열어 보면 대부분 확인되지 않은 내용을 퍼 나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상대방의 수면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다음날 일상 활동을 망칠 수도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소통할 때 타인에 대한 배려도 필요하다. SNS에 올리는 내용이 상대방에게 충분히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지를 한 번은 고민해 봐야 한다. 아무런 생각 없이 가까운 친구들과의 소통 방식을 모든 지인과의 소통 방식으로 적용해서는 곤란하다. 지인 모임의 성격에 따라 소통 수위와 완급을 조절하는 현명함이 요구된다.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상대적 박탈감을 줄 수 있는 지나친 자기 자랑질은 되도록 자제할 필요가 있다. 평소에 본인의 행복한 생활을 보여 주기 위해 여행, 쇼핑, 맛있고 비싼 저녁, 행복한 야외 활동 등 여기저기에 사진을 올리는 것은 가까운 지인 간에도 조심스러워야 한다. SNS를 포함해 무엇이든 지나친 것은 모자람만 못한 일이다.
2021-05-19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