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보 체계가 목적에 걸맞지 않는다.“ “경보 체계가 목적에 걸맞지 않다.”
“그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 “그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다.”
단어의 쓰임을 두고 이게 맞나 싶어 사전을 찾는 경우가 가끔 있다. 위 문장에 쓰인 ‘않다’와 ‘않는다’도 그중 하나이다.
‘-지 않다’의 형태로 쓰이는 ‘않다’는 보조 용언으로 앞말(본용언)의 품사에 따라 보조 동사 또는 보조 형용사로 쓰인다. 즉 앞말이 동사이면 ‘않다’ 역시 보조 동사로, 앞말이 형용사이면 보조 형용사로 쓰인다. 따라서 동사 뒤에 오는 ‘않다’는 동사의 활용 형태인 ‘않는다’처럼 쓰이고 형용사 뒤에서는 형용사의 활용 양상을 따라 ‘않다’로 쓰게 된다.
위 문장의 ‘걸맞다’는 형용사이므로 뒤에 형용사형 활용인 ‘않다’가 와야 한다. 반면 동사인 ‘맞다’ 뒤에는 동사의 활용 형태인 ‘않는다’를 써야 한다. 따라서 “걸맞지 않다”와 “맞지 않는다”가 바른 표현이다.
‘않으냐’와 ‘않느냐’ 역시 앞말의 품사에 따라 ‘-지 않느냐’와 ‘-지 않으냐’의 형태로 쓰인다. 즉 앞말이 동사일 때는 ‘-느냐’를, 형용사일 때는 ‘-으냐’를 쓴다. ‘아니다’, ‘기쁘다‘, ’행복하다‘는 형용사이므로 “아니지 않으냐”, “기쁘지 않으냐”, “행복하지 않으냐”처럼 쓰인다. 그러나 ‘잡다’, ‘주다’, ‘신나다’의 경우는 모두 동사이므로 “왜 잡지 않느냐”, “왜 생활비를 주지 않느냐”, “여행 가니 신나지 않느냐”와 같이 사용한다.
oms30@seoul.co.kr
“그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 “그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다.”
단어의 쓰임을 두고 이게 맞나 싶어 사전을 찾는 경우가 가끔 있다. 위 문장에 쓰인 ‘않다’와 ‘않는다’도 그중 하나이다.
‘-지 않다’의 형태로 쓰이는 ‘않다’는 보조 용언으로 앞말(본용언)의 품사에 따라 보조 동사 또는 보조 형용사로 쓰인다. 즉 앞말이 동사이면 ‘않다’ 역시 보조 동사로, 앞말이 형용사이면 보조 형용사로 쓰인다. 따라서 동사 뒤에 오는 ‘않다’는 동사의 활용 형태인 ‘않는다’처럼 쓰이고 형용사 뒤에서는 형용사의 활용 양상을 따라 ‘않다’로 쓰게 된다.
위 문장의 ‘걸맞다’는 형용사이므로 뒤에 형용사형 활용인 ‘않다’가 와야 한다. 반면 동사인 ‘맞다’ 뒤에는 동사의 활용 형태인 ‘않는다’를 써야 한다. 따라서 “걸맞지 않다”와 “맞지 않는다”가 바른 표현이다.
‘않으냐’와 ‘않느냐’ 역시 앞말의 품사에 따라 ‘-지 않느냐’와 ‘-지 않으냐’의 형태로 쓰인다. 즉 앞말이 동사일 때는 ‘-느냐’를, 형용사일 때는 ‘-으냐’를 쓴다. ‘아니다’, ‘기쁘다‘, ’행복하다‘는 형용사이므로 “아니지 않으냐”, “기쁘지 않으냐”, “행복하지 않으냐”처럼 쓰인다. 그러나 ‘잡다’, ‘주다’, ‘신나다’의 경우는 모두 동사이므로 “왜 잡지 않느냐”, “왜 생활비를 주지 않느냐”, “여행 가니 신나지 않느냐”와 같이 사용한다.
oms30@seoul.co.kr
2021-05-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