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고위급회담에서 양국 대표단이 가시 돋힌 설전을 주고받으며 명확한 입장 차를 드러냈다.”
서로에게 상처 주는 말을 일러 ‘가시 돋힌’이란 표현을 사용한 글들을 자주 보게 된다.
‘공격의 의도나 불평불만이 있다’는 뜻의 ‘가시가 돋다’를 강조한 것으로 ‘먹다’, ‘잡다’에 피동 접사 ‘-히-’를 붙여 ‘먹히다’, ‘잡히다’로 만드는 것처럼 ‘돋다’에 ‘-히-’를 붙여 ‘돋히다’로 쓴 것이다. 그러나 ‘돋다’는 피동형 표현을 만들 수 없는 자동사다.
피동이란 주체가 다른 힘에 의해 움직이는 동사의 성질을 말한다. 즉 무언가에 의해 그 동작을 하게 한다는 의미에 부합해야 피동 표현이 가능하다.
‘소름’을 예로 들어 보자. 소름은 내 몸에 스스로 돋아나는 것이지 남에 의해 돋아나게 되는 게 아니다. 그러므로 ‘돋히다’와 같은 피동 표현을 쓰면 안 된다. 다시 말해 ‘돋히다’는 남에 의해 내가 돋음을 당하게 되는 것인데, ‘돋다’는 언제나 스스로의 작용에 의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므로 피동 표현으로는 쓸 수 없다.
따라서 여기에 적합한 말은 ‘밖으로 생겨 나와 도드라지다’란 뜻의 ‘돋치다’이다. ‘돋다’에 강조의 의미를 더하는 접사 ‘-치-’가 붙은 꼴이다. ‘날개 돋힌 듯 팔리다’에서의 ‘돋힌’도 ‘돋친’이 바른 표현이다. ‘돋히다’는 무조건 ‘돋치다’로 써야 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서로에게 상처 주는 말을 일러 ‘가시 돋힌’이란 표현을 사용한 글들을 자주 보게 된다.
‘공격의 의도나 불평불만이 있다’는 뜻의 ‘가시가 돋다’를 강조한 것으로 ‘먹다’, ‘잡다’에 피동 접사 ‘-히-’를 붙여 ‘먹히다’, ‘잡히다’로 만드는 것처럼 ‘돋다’에 ‘-히-’를 붙여 ‘돋히다’로 쓴 것이다. 그러나 ‘돋다’는 피동형 표현을 만들 수 없는 자동사다.
피동이란 주체가 다른 힘에 의해 움직이는 동사의 성질을 말한다. 즉 무언가에 의해 그 동작을 하게 한다는 의미에 부합해야 피동 표현이 가능하다.
‘소름’을 예로 들어 보자. 소름은 내 몸에 스스로 돋아나는 것이지 남에 의해 돋아나게 되는 게 아니다. 그러므로 ‘돋히다’와 같은 피동 표현을 쓰면 안 된다. 다시 말해 ‘돋히다’는 남에 의해 내가 돋음을 당하게 되는 것인데, ‘돋다’는 언제나 스스로의 작용에 의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므로 피동 표현으로는 쓸 수 없다.
따라서 여기에 적합한 말은 ‘밖으로 생겨 나와 도드라지다’란 뜻의 ‘돋치다’이다. ‘돋다’에 강조의 의미를 더하는 접사 ‘-치-’가 붙은 꼴이다. ‘날개 돋힌 듯 팔리다’에서의 ‘돋힌’도 ‘돋친’이 바른 표현이다. ‘돋히다’는 무조건 ‘돋치다’로 써야 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2021-04-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