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5인 이상 집합 금지에도 주요 관광지의 숙박 예약이 일찌감치 끝났다고 한다. 방역 당국은 명절 이후 코로나19의 재확산을 막기 위해 연휴 기간 이동을 자제해 줄 것을 호소했다. “귀성이나 친지 방문, 여행을 자제해 주십시오.” “5인 이상 모임을 하지 마십시오.”
위와 같은 당부형 문장에서 주의해야 할 부분이 있다. ‘주십시오’, ‘마십시오’의 표기이다. 앞 모음 ‘이’의 영향을 받아 마지막 어미가 ‘요’로 소리 나기 때문에 ‘주십시요’, ‘마십시요’로 쓰는 경우가 있는데 문장을 끝내는 종결어미는 ‘-요’가 아니라 ‘-오’이다. 하십시오체뿐 아니라 “도와주시오” 같은 하오체 문장도 마찬가지다. ‘-요’는 사물이나 사실 따위를 열거할 때 쓰이는 연결어미다. “이것은 말이요, 저것은 소다”처럼 사용한다.
“돈이 없어요”, “잠이 안 와요”에서의 ‘요’는 뭘까. 어미 뒤에 붙어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다. 연결어미 ‘-요’나 종결어미 ‘-오’는 생략할 수 없지만 보조사 ‘요’는 없어도 말이 된다. “돈이 없어”, “잠이 안 와”라고 해도 무방하다.
‘-오’와 ‘-요’를 헷갈리게 하는 요소는 또 있다. 바로 해요체다. 하십시오체와 하오체 자리에 두루 쓰이면서 혼란을 부른다. “말씀하세요”에서 ‘-세요’는 ‘-시어요’의 준말이다. ‘-시-’는 선어말어미고 ‘-어’는 종결어미다. 이들 어미 뒤에 붙은 ‘요’는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다. “말씀하셔요”도 마찬가지로 “말씀하십시오”와는 구별해야 한다.
oms30@seoul.co.kr
위와 같은 당부형 문장에서 주의해야 할 부분이 있다. ‘주십시오’, ‘마십시오’의 표기이다. 앞 모음 ‘이’의 영향을 받아 마지막 어미가 ‘요’로 소리 나기 때문에 ‘주십시요’, ‘마십시요’로 쓰는 경우가 있는데 문장을 끝내는 종결어미는 ‘-요’가 아니라 ‘-오’이다. 하십시오체뿐 아니라 “도와주시오” 같은 하오체 문장도 마찬가지다. ‘-요’는 사물이나 사실 따위를 열거할 때 쓰이는 연결어미다. “이것은 말이요, 저것은 소다”처럼 사용한다.
“돈이 없어요”, “잠이 안 와요”에서의 ‘요’는 뭘까. 어미 뒤에 붙어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다. 연결어미 ‘-요’나 종결어미 ‘-오’는 생략할 수 없지만 보조사 ‘요’는 없어도 말이 된다. “돈이 없어”, “잠이 안 와”라고 해도 무방하다.
‘-오’와 ‘-요’를 헷갈리게 하는 요소는 또 있다. 바로 해요체다. 하십시오체와 하오체 자리에 두루 쓰이면서 혼란을 부른다. “말씀하세요”에서 ‘-세요’는 ‘-시어요’의 준말이다. ‘-시-’는 선어말어미고 ‘-어’는 종결어미다. 이들 어미 뒤에 붙은 ‘요’는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다. “말씀하셔요”도 마찬가지로 “말씀하십시오”와는 구별해야 한다.
oms30@seoul.co.kr
2021-02-1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