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것을 이르는 말로 ‘회자’란 단어가 있다. 비슷한 형태로 ‘구설’도 있다. 그러나 ‘회자’는 좋은 일로, ‘구설’은 좋지 않은 일로 사람들의 입 잔치에 오를 때 쓰인다는 차이가 있다.
‘회자’는 회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널리 칭찬을 받으며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림을 이르는 말이다. ‘인구에 회자되다’란 말은 사람들이 회와 구운 고기를 맛있게 먹듯이 행동 등이 좋은 쪽으로 입에 오르내리는 것을 말한다. ‘그 효자의 이야기는 요즘에 보기 드문 미담으로 사람들의 입을 통해 회자되고 있다’처럼 쓴다. 그러니 좋지 않은 일에는 회자를 쓸 수 없다.
나쁜 일로 입길에 오르내리는 것은 ‘구설’이다. ‘구설’은 ‘시비하거나 헐뜯는 말’을 뜻한다. ‘구설’을 써야 할 때 ‘구설수’를 쓰는 경우가 있는데 ‘구설수’는 ‘남과 시비하거나 남에게서 헐뜯는 말을 듣게 될 운수’다. 즉 구설은 ‘구설에 휘말리다’나 ‘구설에 오르다’로, 구설수는 ‘구설수가 들다’나 ‘구설수가 있다’로 쓰면 된다.
회자 못잖게 잘못 쓰이는 말이 타산지석이다. 남의 산에 있는 돌이라도 나의 옥을 다듬는 데에 소용이 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이나 허물, 실패까지도 자신을 수양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말이다. ‘부정적인 대상을 통해 교훈을 얻는다’는 뜻의 반면교사와 비슷한 말이다. 따라서 본받아야 할 성공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자고 하면 안 된다.
‘회자’는 회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널리 칭찬을 받으며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림을 이르는 말이다. ‘인구에 회자되다’란 말은 사람들이 회와 구운 고기를 맛있게 먹듯이 행동 등이 좋은 쪽으로 입에 오르내리는 것을 말한다. ‘그 효자의 이야기는 요즘에 보기 드문 미담으로 사람들의 입을 통해 회자되고 있다’처럼 쓴다. 그러니 좋지 않은 일에는 회자를 쓸 수 없다.
나쁜 일로 입길에 오르내리는 것은 ‘구설’이다. ‘구설’은 ‘시비하거나 헐뜯는 말’을 뜻한다. ‘구설’을 써야 할 때 ‘구설수’를 쓰는 경우가 있는데 ‘구설수’는 ‘남과 시비하거나 남에게서 헐뜯는 말을 듣게 될 운수’다. 즉 구설은 ‘구설에 휘말리다’나 ‘구설에 오르다’로, 구설수는 ‘구설수가 들다’나 ‘구설수가 있다’로 쓰면 된다.
회자 못잖게 잘못 쓰이는 말이 타산지석이다. 남의 산에 있는 돌이라도 나의 옥을 다듬는 데에 소용이 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이나 허물, 실패까지도 자신을 수양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말이다. ‘부정적인 대상을 통해 교훈을 얻는다’는 뜻의 반면교사와 비슷한 말이다. 따라서 본받아야 할 성공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자고 하면 안 된다.
2020-10-0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