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서슴지와 익숙지/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서슴지와 익숙지/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0-08-19 20:10
수정 2020-08-20 01: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예나 지금이나 ‘겁 없는 10대들’의 이야기가 심심찮게 기사화된다. ‘겁 없는 10대 무면허에 절도 행각 서슴치 않아’, ‘살인까지 서슴치 않는 10대들의 범죄’ 등등.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머뭇거리며 망설이다란 의미의 동사는 ‘서슴다’이다. 주로 ‘서슴지’ 꼴로 ‘않다’, ‘말다’ 따위의 부정어와 함께 쓰인다. 하지만 ‘고심하다’, ‘괘념하다’ 등이 어미 ‘-지’와 결합할 때 ‘-하-’의 ‘ㅏ’가 탈락하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고심치’, ‘괘념치’로 바뀌는 것과 연관 지어 ‘서슴치’가 바른 표기라고 생각하는 이가 많다. 하나 ‘서슴치’가 되려면 기본형이 ‘서슴하다’여야 한다. 따라서 ‘서슴다’가 어미 ‘-지’와 결합하면 ‘서슴지’가 된다.

‘삼키지 않고 입속에 넣고만 있다’, ‘눈물을 흘리지 않고 지니다’란 뜻의 동사 ‘머금다’ 역시 “오래 머금치 마라”, “습기를 머금치 않아 다행이다”처럼 활용해선 안 된다. ‘기본형이 ‘머금다’이므로 어간 ‘머금-’에 ‘-지’가 붙은 꼴로 ‘머금지’로 적어야 한다. 이 규칙대로라면 ‘익숙하다’나 ‘넉넉하다’도 ‘익숙치’나 ‘넉넉치’로 써야 할 듯하지만 이때는 ‘익숙지’, ‘넉넉지’로 쓴다. 이는 울림소리(모음·ㄴ·ㄹ·ㅁ·ㅇ) 뒤에선 ‘-하-’의 ‘ㅏ’만 줄어들고 안울림소리(ㄴ·ㄹ·ㅁ·ㅇ을 제외한 자음) 뒤에선 ‘-하-’ 전체가 줄어드는 현상 때문이다. 즉 ‘수월하다’가 어미 ‘-지’와 결합하면 ‘수월치’로, ‘익숙하다’가 ‘-지’와 결합하면 ‘익숙지’로 쓴다.

oms30@seoul.co.kr
2020-08-2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