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태윤의 경제 인사이트] 글로벌 유동성 불안의 경고

[성태윤의 경제 인사이트] 글로벌 유동성 불안의 경고

입력 2019-09-29 22:36
수정 2019-09-30 01: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최근 미국의 단기자금시장 금리가 급등해 금융불안이 확산되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는 시장 안정을 위해 긴급 자금을 투입했다. 특히 ‘레포’ 금리로 지칭되는 초단기금리가 일반적인 2% 수준에서 10%대까지 치솟으며 금융시장에서 단기 유동성 부족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기자금 부족에 따른 신용경색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20일 발표된 뉴욕연방은행의 최근 ‘레포’ 공개시장 조작계획에 따르면 지난 27일 ‘오버나이트 레포’로 750억 달러(약 90조원)의 유동성을 공급하며 기간이 조금 더 긴 ‘14일 레포’ 형태로 300억 달러(약 36조원)를 제공하기로 돼 있다. 9월 30일부터 10월 10일까지는 ‘오버나이트 레포’로 750억 달러의 단기자금을 공급하는 계획이다. 즉 미국 연준이 막대한 양의 단기 유동성 자금을 금융시장에 긴급히 공급한다는 뜻이다.

‘레포’는 대개 하루 내지는 짧은 기간이 지난 시점에 다시 사는 환매를 조건으로 채권을 팔고 그 기간 이후에 이자를 붙여 다시 매입하는 형태의 환매조건부(還買條件附)인 채권의 매매를 나타내는데, 그 금리가 급등한다는 것은 단기금융시장에 자금이 부족하다는 의미다.

일반적으로 채권은 만기가 길기 때문에 자금이 필요해도 단기자금 융통에는 사용이 어려워서 보유해도 유동성이 부족해지기 쉬운데, 레포를 통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더구나 채권을 담보로 하는 레포는 상환에 어려움이 발생해도 담보채권을 매각해 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통상적으로는 신용위험에 따른 문제도 크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대부분 국가에서 레포는 중앙은행과 민간 상업은행 간 유동성 공급 수단 등으로 널리 활용된다.

그러나 기술적(技術的)인 금융상품 내지는 전문적인 거래 방식에 따른 것이어서 일반인이 접근하는 투자 대상으로 보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현재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최근 불안한 글로벌 금융시장을 보여 주는 주요 신호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세계경제를 흔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도 출발은 단기금융시장 경색이었는데, 유동성 부족과 담보자산 가치 하락에 따른 레포 시장 불안이 당시 위기의 시작을 알린 신호탄이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의 과거 금융위기가 대개는 예금주들이 너도나도 은행에서 돈을 찾는 뱅크런에서 촉발됐다면, 글로벌 금융위기는 레포 시장에서 유동성이 부족한 결과 담보 자산의 가치가 떨어지면서 발생한 레포런의 특성을 보였던 것으로 평가된다.

물론 현재 상황을 미국 금융시장의 일시적인 현상으로 치부할 수 있다. 또한 미국은 대형 금융기관 집중이 심해서 이들이 금융시장에 대한 독점력을 활용해 높은 초단기금리를 받는 것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법인세 납부 시기로 인해 세금 납부를 위한 자금 수요가 몰렸던 것을 지적하기도 한다.

하지만 단기자금 압박에 따라 미국 연준이 최근에 취한 긴급 유동성 공급 조치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사실상 처음이라는 점에서 그 경고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미 미국 국채시장의 장단기 금리 역전 같은 금융시장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발생한 이번 사태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유동성 경색 같은 심각한 상황의 전조일 수 있다.

특히 미국 금융시장의 경우는 각종 규제가 강화되면서 금융기관의 유동성 수요가 구조적으로 증가한 가운데, 미국 경제가 약화되면서 금융불안 역시 확대되고 있다. 또한 미국 정부의 지출 규모가 커져 재정적자를 메우기 위한 자금 수요가 증대하는 점도 자금시장 불안에 영향을 주고 있다. 결국 이러한 단기금융시장 불안은 미국 경제의 취약점을 반영해 글로벌 유동성 공급을 위축시키는 사태로 확산될 수 있는 위험 요인이다.

이러한 미국 금융시장의 움직임과 직접 연관된 것은 아니어도 실제로 우리나라 레포 시장에서도 일부 불안한 상황이 특정 시점에서 관찰되기도 했다. 더구나 국내 경기 악화로 수익성이 저하된 가운데 노동비용 등 각종 비용 증가로 자금관리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더구나 최근 우리 역시 정부 지출 확대로 세금 부담 증가에 대한 위험 노출이 커지고 있음을 고려할 때 기업과 가계가 안정적으로 유동성과 자금을 확보하고 관리해야 하는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는 시점이다.
2019-09-3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