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태윤의 경제 인사이트] 미국과 괴리된 신흥국에 번지는 위기

[성태윤의 경제 인사이트] 미국과 괴리된 신흥국에 번지는 위기

입력 2018-08-12 21:06
수정 2018-08-12 2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이 이란에 대해 8월 경제제재를 복원하고 11월 2차 제재까지 가하겠다고 하자 이란은 통화가치가 폭락하며 경제위기에 직면했다. 2018년 1월 초 미화 1달러당 3만 6000리알이던 공식 환율은 지난 7월 말 4만 4000리알까지 상승하며, 통화가치는 연초 대비 20% 이상 떨어졌다. 7월 말 암시장에서는 미화 1달러가 공식 환율의 2.7배에 이르는 12만 리알에 거래된다. 통상적으로 암시장에서 공식 환율보다 높은 가격에 달러가 거래되지만 그 차이가 5000리알 정도였음을 감안하면, 외환위기가 도래했다는 뜻이다.
이미지 확대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터키 역시 1월 초 미화 1달러당 3.8리라였던 환율이 7월 말 4.9리라가 되면서 2018년 초반 대비 통화가치가 30% 폭락했다. 기업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국제 투자자들이 터키에 대한 투자 매력을 갖지 못해 해외자금이 유입되지 않는 데다 경상수지 적자가 지속된 결과 외환 유출이 심해진 현 상황을 터키 정부가 더이상 통제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최근에는 전통 우방이던 미국과의 관계도 나빠져 제재까지 언급될 정도여서 경제위기 시 미국이나 국제기구로부터 협조를 얻어 내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 역시 상황을 악화시켰다.

실제로 파키스탄은 현재 경제위기로 긴급 자금 수혈이 필요해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 금융을 요청하려 하는데, IMF의 파키스탄 자금 지원을 미국이 반대하고 있다. 과거에는 파키스탄이 미국의 강력한 우방으로 간주됐지만, 현재는 대(對)테러 전쟁 과정에서 상호 신뢰가 약화됐기 때문이다. IMF가 파키스탄에 구제 금융을 제공하면 이것이 무역전쟁의 상대방인 중국을 도와주는 것이라고 미국이 우려하고 있다.

파키스탄이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사업에 협력하면서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回廊)사업(CPEC)에 대규모 투자를 했고, 이것이 재정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간주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국 정부에서는 일대일로 관련 중국 채권자 구제에 사용될 수도 있는 지원에 IMF 출자자금을 쓸 수 없다며 제동을 거는 것이다.

최근 신흥국 사태와 관련해 핵 문제로 미국과 대립하는 이란은 말할 것 없이 터키, 파키스탄 등 특히 위기의 가능성이 높거나 이미 경험하고 있는 국가들은 공교롭게도 현재 미국과 갈등 관계에 있다.

물론 신흥국 가운데 미국과 갈등 관계에 있는 국가만 어려운 것은 아니다. 또 하나의 그룹은 지난 2분기 4.1%라는 경이적인 성장을 보인 미국과 다른 성장 패턴을 나타내는 신흥국 경제들이다. 미국 같은 선진 경제가 아닌 신흥시장에 국제 자금이 투자되는 이유는 위험에도 불구하고 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는 국제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시장인 미국이 활황과 기업 실적 개선에 기초해 고수익까지 기대할 수 있는 투자처가 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투자 자금의 신흥시장 유입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

결국 관계의 문제이든지 성과가 다르기 때문이든지 미국과 괴리된 패턴을 보이는 신흥시장은 현재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특히 전통적인 우방을 존중하면서 상호 공생에 바탕을 두고 때로는 단기 손해가 있더라도 장기적인 관계에 기초해 이해를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과거와 현재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입장은 다르다. ‘미국우선주의’에 입각해 미국에 불리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즉각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또한 과거에는 미국과 경제사정이 어느 정도 괴리되더라도 중국이 원자재, 중간재를 포함해 신흥국의 주요 수출시장으로 역할하며 위기 요인을 비교적 흡수해 줄 수 있었다. 즉 경제가 개방되면서 한국과 같이 제조업 산업화가 이루어진 국가에는 중국이 수출시장으로 역할을 했고, 중국 경제가 활성화되면 그 결과 원자재 가격이 호조를 보이며 자원 수출에 의존하는 신흥국 경제에도 도움이 됐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신흥국 경제가 많이 의존하던 중국이 비효율적 국영기업과 부채 등 내부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데다 미국과의 무역전쟁으로 대외적인 갈등에 돌입하면서 추가로 경제사정이 악화되고 있다는 점도 우려된다. 따라서 과거에 비해 ‘관계’와 ‘성과’ 모두 미국과 괴리되는 것에 따른 위험성은 더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 신흥국 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2018-08-1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