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겨울을 보냈기에 어느 때보다 이른 봄을 맞이할 줄 알았다. 한낮에는 영상으로 올라가 따스하지만, 영하로 떨어지는 새벽에는 여전히 움츠러들만큼 서늘하다. 어둠이 물러가는 것을 먼저 알고 수탉이 울듯이 마당에서 자라는 화초들이 계절 변화를 먼저 알고 움트는 것이 봄이겠다. 얼었다 녹았다 하면서 부풀어진 땅을 뚫고서 새싹들은 돋아나고, 봄을 맞이한 나무에는 겨우내 붙잡고 있던 새순이 통통하게 야물어져 간다. 언제 꽃 피려나. 아랫녘에는 매화꽃이 벌써 피어나고 산수유 노란 꽃이 앞다퉈 피어나던데 생각해 보면 늘 이맘때 봄을 기다리는 것이 버릇인 듯하다. 기다리는 매화는 3월 중순 넘어야 꽃을 보여 주었고 그즈음 돼야 수선화도 꽃대 올리고 할미꽃도 벙그러지기 시작했었다. 겨울이 따뜻했든 그렇지 않았든 봄은 어서 와야 한다고 억지 부려도 될 그런 계절인가 보다.
키 작은 크로커스가 첫 꽃을 내보이는 날, 엄마는 냉이를 한 아름 캐오셨다. 혹여 걱정돼 주변에 사람들 나왔냐고 물으니 혼자서 캐셨다고 한다. 예전 같으면 쑥이며 냉이, 달래, 고들빼기 캐다 보면 아주머니들과 자연스레 함께해 이런저런 이야기 섞으며 시간을 보냈었다.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리니 걱정이 앞선다. 통통하게 여문 냉이들 하나하나 다듬고 손질해 나물 무치고 된장국을 끓이시니 집안에 봄내음이 가득하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신가영 화가
추위가 누그러지기 시작한 후 닭은 알을 낳기 시작했다. 오늘도 두 알 낳았고 마을에선 일 나가는 경운기 소리에 밭 일구는 소리가 들려온다. 하루를 채우는 일상의 소리들, 그 소리들이 새삼 소중하게 생각되어지는 시절이다. 코로나19로 대부분 사람들의 일상이 바뀌고 멈추었다. 많은 이가 방역을 위해 기꺼이 봉사에 나섰고 스스로 방역 주체가 돼 고비를 넘기고 있다. 어려운 시절을 헤쳐 나가는 것은 개개인이 모인 우리인 것이다. 공동체 위기를 늘 듣곤 하는데 단위가 달라지고 연결고리가 변화돼 가는 세상이기에 또 다른 모습으로 우리가 형성되지 않을까 싶다. 일상을 회복한다면 제일 고마운 분들은 맨 앞에서 고군분투하신 분들이고 더불어 각자 스스로 잘 지키고 이겨낸 우리일 것이다.
변화를 맞이하는 데 쉬이 가는 길은 없다. 봄이 멀지 않은 곳에서 기다리고 있다.
2020-03-11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