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은 다양한 것들이 모이는 곳이다. 계획을 세우고 손을 부지런히 놀려도 심은 것보다 심지 않은 것이 더 많이 자란다. 그렇게 뽑고 뽑아도 잔디에는 바랭이가 걸어다니는 문어인 양 다리 쭉쭉 뻗고 있고, 먼저 뿌리내린 것이 임자라는 듯 달개비와 개망초, 명아주는 쑥쑥 잘도 자란다. 나물로 무치면 맛나다 하여 방치한 비름은 우슬초와 함께 무성하기만 하다.
칡덩굴과 환삼덩굴은 밖에서 은근슬쩍 들어와선 나무들을 휘감고 있고, 자리공은 나무들 사이에 넓은 잎을 펼치고 굵어지는 중이다. 키우자는 화초는 숨죽이는데 잡초들은 우거지고 기세등등하니 어느새 정글 흉내내는 마당.
처음 마당을 가꾸기 시작했을 땐 심은 것이 많지 않으니 풀 매다 한나절 보내곤 했다. 풀 매다 보면 시간은 더디 가고 넓지 않은 마당이 한없이 넓게 느껴지는 경험을 하게 된다. 키우기보다 없애기 바쁜 시간이었다. 그래서 잡초를 대신할 꽃을 심고 씨앗을 뿌렸다.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달개비와 개망초가 그득하던 곳에 국화 삽목으로 채우고, 비름 가득한 곳에는 타임과 오레가노, 페퍼민트가 자라고, 키 작은 잡초 무성한 곳에는 채송화와 알리숨이 피고, 철쭉과 주목 사이엔 초롱꽃들이 메우고 있다. 질경이가 지독히 퍼지던 자리엔 샤스타데이지가 자리하고 올해 처음 키워 보는 토란은 잎이 넓으니 시원하게 자리를 채우지만, 역시 잡초는 힘이 세다.
신가영 화가
자연이란 그런 것이겠다. 비는 예쁘게 피어나는 장미나 잡초 바랭이를 차별하지 않는다.
2019-07-17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