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혜의 책 사이로 달리다] 사회의 여백/글항아리 편집장

[이은혜의 책 사이로 달리다] 사회의 여백/글항아리 편집장

입력 2021-06-28 17:14
수정 2021-06-29 03: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은혜 글항아리 편집장
이은혜 글항아리 편집장
2019년 10월 초 도쿄에서 태풍 하기비스를 만났다. 태풍의 위력은 대단해 사람이 날아갈 정도였다. 호텔에 이틀간 갇혀 있었더니 먹을 것이 없어 위험을 무릅쓰고 신주쿠 번화가로 나갔다. 거리에 사람은 그림자도 보이지 않았다. 문 연 음식점을 찾아 걷던 그때 반갑게도 길에 등을 대고 얼룩처럼 붙어 있는 사람 몇 명을 만났다. 바로 노숙인들이었다. 평소 번드르르하게 꾸민 백화점 주변에 기웃거리지도 못했던 그들은 태풍으로 백화점이 문을 닫자 건물 포치 아래서 하늘을 향해 누운 채 여유 있게 비를 감상하는 것처럼 보였다. 일본이란 나라는 청결함의 대명사인데, 누구나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하는 청결한 일본이라도 일상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자 ‘청결하지 않은’ 무언가가 제 몫을 찾아 속속 거리에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이다.

미셸 푸코는 언젠가 레몽 루셀이나 앙토냉 아르토와 같은 이들의 작품을 보고는 놀라워한 적이 있다. 그 이유는 그들이 자신의 특이성, 즉 사람들이 정신병적 증상이라 부르는 것을 부정하기보다 이를 ‘긍정적인’ 에너지로 바꿔 작품으로 승화시켰기 때문이다. 푸코는 여기에 충격을 받고 ‘어떻게 한 사회가 자격을 박탈해 배제시킨 이들이 작품에 등장해 긍정적인 방식으로 기능하는 일이 가능한가’라는 의문을 품었으며, 우리 사회에 이들을 받아들일 만한 여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즉 자격을 박탈당한 이들이 자기 모습을 드러내면서 사회 속으로 들어올 때 우리는 미처 몰랐던 여백을 알아차리곤 한다.

일인칭의 자기 서사는 문학계를 점해 온 오랜 방식이긴 하나 최근 들어 서점가에서 이런 에세이들이 폭발적일 정도로 터져 나왔다. 왜 그런 분출 현상이 일어났을까. 사실 자기를 발가벗겨 글로 내보이는 이들의 삶은 음습하고 축축하며 어두운 색채를 띠고 있다. 예컨대 최근 편집한 책 ‘시선으로 사람을 죽일 수 있다면’의 이정식 작가는 2013년 HIV 양성 판정을 받았다. 그는 코로나19 팬데믹이 벌어지기 전 이미 감염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 속에서 힘겹게 살아왔다. 하지만 거기에 굴하지 않고 그는 확진 이후 시각예술 분야에서 쉼 없이 작품 활동을 하면서 자기 이야기를 써 나갔다. 그것만으로는 모자랐던지 그는 자신을 확장하는 방법으로 HIV 양성 판정을 받은 8명의 또 다른 이들을 인터뷰해 자기 고백과 서사를 돋우어 냈다.

이정식씨가 감염 사실을 드러내려고 결심했을 때 지인 대부분 반대했다. 예상치 못한, 감당할 수 없는 반응들에 직면할지도 모른다면서. 그런 우려에는 일부 타당한 면이 있었다. 그 후 이정식씨는 감염인이라는 타이틀이 계속 씌워져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자신이 이야깃거리로 소모된다는 느낌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밝은 면도 있었다. 그는 HIV 감염 확진자라는 고백이 가능하다는 것, 그런 채로 작품 활동을 활발히 이어 갈 수 있고 사람들과 어울리는 일상생활이 가능하다는 것, 이름 없이 자신을 숨기고 사는 것이 아니라 ‘나는 감염인이다’라고 말한 뒤에도 사회에서 배제되지 않는다는 것을 계속 입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과거라면 더러운 얼룩에 그쳤을지 모를 그의 생애는 드러냄으로 인해 ‘긍정적인’ 기능을 하고 있고, 우리 사회에도 그런 것을 받아들일 여백이 꽤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말을 바로 하자면 여백의 발견이라기보다 그들에게 정당한 몫을 되돌려 주는 것이다.

편집자로서나 독자로서 책을 읽으며 하품이 나올 때는 기성세대, 기성사회에서 ‘정상적’이라는 틀로 부여받은 이야기들이 끊임없이 재생산될 때다. 인간은 존재 자체가 지루함을 잘 못 견뎌 늘 새롭고 낯선 것을 찾아 거기에 의미를 부여하고 기존 것들을 전복시킨다. 책 역시 삶에 의문을 제기하도록 만들거나 우리 사고를 불편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면 굳이 쓰이지 않아도 될 것이 꽤 있다. 그런 면에서 퀴어, 세대, 장애 등 낯선 담론이 꾸준히 사회에 균열을 내고 여백을 만들어 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2021-06-2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