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혜의 책 사이로 달리다] 저자앓이, 저자와 헤어지기

[이은혜의 책 사이로 달리다] 저자앓이, 저자와 헤어지기

입력 2019-08-06 00:04
수정 2019-08-06 04: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은혜 글항아리 편집장
이은혜 글항아리 편집장
몇 명의 저자와 헤어졌다. 문자도 이메일도 하지 않는 사이가 됐으니 결별한 게 확실하다. 이들이 지금도 떠오르는 건 과거에 그만큼 밀착된 관계였기 때문이다. 문득 읽게 된 어떤 저자의 원고는 하고 있던 모든 일을 밀쳐 두게 할 만큼 뛰어나다. 그가 삶과 맺는 불화나 세상의 안이함과 분투한 흔적은 깊이 있는 공부와 더해져 전범이 될 만한 글쓰기로 맺어진다.

A의 원고가 그랬다. 문장은 때론 헐겁고 때론 밀도 있어야 읽는 사람도 강약의 템포로 쫓아갈 텐데 강강(??)의 밀도로 채워진 원고는 읽는 이를 압도했다. 나는 자세를 고쳐 앉고 보기 시작했다. 이 원고의 각주 하나 빠뜨리고 싶지 않았고 이 사람의 지금 모습과 글쓰기가 어디서 비롯됐는지 그 물줄기 하나 놓치지 않으려 했다.

편집자는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 남의 글을 읽고 다듬어 세상에 내놓는 역할을 한다. 아무리 카피와 보도자료를 많이 써도 편집자는 작가가 아니며, 아무리 책을 많이 읽어도 학자가 아니다. 하지만 유일한 장점을 하나 꼽자면 싹수는 있다는 것이다. 즉 글을 읽는 눈과 지적 호기심은 기본으로 장착돼 있어 누가 물을 주면 한 방울이라도 피와 살이 되게 하려고 애쓰는 존재다.

단 하나의 미약한 장점을 가진 나는 싹을 틔우고 꽃도 피우고자 저자라는 물줄기에 기대어 방대한 문헌들을 좇아 읽기 시작했다. 누군가를 많이 좋아한다는 것은 그 사람의 근원이 되는 지점을 찾아나서게 만든다. A는 프랑스에서 공부했고 근대와 현대를 아우르는 광폭의 지식을 갖고 있어 책을 편집하면서 그가 참조한 책을 10권쯤 그대로 따라 읽었다. 그 책들은 A를 만나고 더 잘 알게 해주었지만, 나를 또 다른 세계로 이끌었다. 거기서 우리 학계의 한계와 협소함도 보고, 품고 있던 의문들이 이미 해소돼 있다는 걸 알기도 하며, 더 큰 세계를 만나면서 갑자기 자신이 놓인 현실이 보잘것없어 보이기까지 했다. 그 후로 A와의 책 작업은 몇 권 더 이어졌다. 일로 만났는데 때로 사제 관계인 듯 때론 친구인 듯한 관계로 우린 세상을 보는 시선도 공유하게 됐다. 인내심 많은 저자는 지난 세월 자신이 축적해 온 것들 대부분을 하나둘씩 풀어놓았다.

하지만 출판 비즈니스계에서 완전 순수한 관계는 어렵다. 편집자는 A뿐만 아니라 B와 C의 물줄기까지 공급받으니 어느새 머리가 커져 있다. A에 전적으로 집중하던 시간은 B, C에게 쪼개지고 A, B, C가 열어 준 세상을 바라보는 렌즈는 어느덧 나의 저자들을 비평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눈까지 생겨나게 했다. 계속 좋을 것만 같던 관계는 시절 인연처럼 끝을 향해 가는 징후를 하나둘 드러내기 시작했다. 그 종막은 그리 아름답지 않다. 한마디로 말해 저자는 자기 책을 더 많이 팔아 주길 원하고, 편집자는 많이 팔리는 저자와 작업하길 바라는 속내가 마침내 섭섭함이라는 감정으로 표면화되는 것이다.

그러니 시장 상황에 따라, 자기 욕망의 크기에 따라 관계가 삐걱거릴 계기는 도처에 널려 있다. 이때 내가 알던 A가 더이상 그때의 A가 아님을 알게 되고, A 역시 더 나은 편집자를 꿈꾸게 된다. 내가 알던 상대의 과거와 현재 모습 사이에 간극이 크다고 느낄수록 관계가 삐걱대는 소리는 좀더 요란해진다. 하지만 우린 글로 맺어진 사이니 쉽게 끝날 순 없다. 아쉬움도 내보이고, 잘해 보자고 다독거리지만 이미 서로에게 바라는 게 많아져 회복은 쉽지 않다.

A는 그 후 몇몇 다른 출판사와 책 작업을 했다. 인터넷 서점에 들어가 가끔 검색해 본다. 책이 잘 나오고 있으면 안심이다. 더 나은 편집자들이 아직 있는 것 같아서. 나 역시 D, E라는 새로운 저자를 만난다. 똑같은 과정이 반복된다. D에게 매혹되고, 밤새 그의 글을 읽고, 저자앓이도 하고, 그의 글이 쓰인 궤적을 따라 각주와 참고문헌에 밝혀진 책을 꼬박 10권씩 사서 읽는다. 이게 시절 인연일지라도 다시 한번 속으면서 세상에 단 한 권밖에 없을 책이라고 믿으며 그 길을 또 가는 것이다.
2019-08-0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