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식 기초과학연구원 희귀핵연구단장
누구나 학창 시절에 감명 깊게 들었던 수업이 한두 개쯤 있듯이 필자에게도 기억에 남는 수업이 있다. 그중 하나가 벌써 40년 전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대(UCLA)에서 들었던 언어학개론 수업이다. 대형 강의실에서 수백 명이 함께 수강하는 교양과목이라 별 기대 없이 신청한 수업이었다. 그런데 이 수업에서 교수는 한글에 관한 내용을 자주 예로 들었다. 미국인 교수가 한글을 언급하는 것 자체도 반갑고 인상적이었지만, 어떤 질문을 해도 막힘없이 설명하는 것이 감탄스러울 정도였다.
어느 날 한 학생이 모음 ‘ㅡ’ 발음을 어떻게 하는지 질문했다. 교수는 학생들을 향해 혹시 이 모음을 발음해 줄 수 있는 한국인이 있는지 물어보았다. UCLA에는 한국 학생들이 많았기 때문에 누군가는 일어나서 답을 할 줄 알았는데 아무도 일어서지 않았다. 결국 교수가 직접 설명을 하게 되었다. 영어에는 ‘으’ 발음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었던지라 필자는 과연 어떻게 답할지 궁금했었다. “‘굿모닝’이라고 인사할 때 친한 친구들끼리는 더 친밀하게 ‘그~으~읏 모닝’이라고 하지? 그때 나오는 ‘으’ 발음이 바로 한글 모음의 ‘ㅡ‘와 같다”고 아주 정확하게 설명하는 것이었다. 그 수업을 통해 언어학적으로 한글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한국계 이민자로서 자긍심도 갖게 되었다. 나중에 강단에 섰을 때 롤모델로 떠올리며 내가 하는 학문에 대한 깊이와 자신감을 갖고 학생들을 가르치고 싶다는 열망을 갖게 한 소중한 수업이었다.
또 하나의 신선한 충격으로 기억되는 것은 대학원에서의 원자물리 수업이었다. 수업의 질은 말할 것도 없이 훌륭했지만 더 기억에 남는 것은 기말고사 방식이었다. 최근 발표된 전공 관련 논문을 임의로 선택해 교수 앞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시험을 대신했던 것이다. 시험지에 답안을 적는 것에 익숙했던 학생들은 적잖이 당황할 수밖에 없었으며, 특히 영어가 완벽하지 않은 외국인 학생들은 더욱 부담스럽고 불공평하다고 생각되었다. 필자는 최선을 다해 발표를 준비했고 교수의 질문에 답변도 잘했다고 생각했지만 최고 학점을 받지는 못했다.
지난 20여년간 강의실에 들어가기 전에 항상 최선을 다해 가르치겠다는 마음으로 임했다. 100명의 학생이 듣는 수업에서 나의 1시간은 동시에 수업을 듣는 이들의 귀중한 100시간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돌이켜 보면 아쉬움과 부족함이 많았기에 마지막이 될 수 있는 이번 학기 강의는 더욱더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해 본다. 오랜만에 다시 찾게 된 캠퍼스에는 봄꽃들이 기지개를 켜기 시작했고, 일부 대면 강의 덕분에 학교를 찾은 학생들로 조금씩 활기를 되찾아 가고 있는 희망찬 봄날이다.
2021-03-2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