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칼럼] 나무에게로 가는 길/전민식 작가

[금요칼럼] 나무에게로 가는 길/전민식 작가

입력 2021-07-29 22:02
수정 2021-07-30 03: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전민식 작가
전민식 작가
요즘 나는 대부도의 한 사찰로 수목장 아르바이트를 하러 다닌다. 목요일에서 일요일까지 그곳에서 보내는데 친한 선배의 청과 나흘이라는 시간을 거의 온전히 홀로 보낼 수 있다는 매력, 일정액의 보수가 그런 결정을 하는 걸 어렵지 않게 만들어 주었다. 낯선 일이었지만 크게 거부감이 들진 않았다. 규모가 작은 곳이라 하루 종일 혼자 일을 한다. 올해 문을 열어 드나드는 이들도 드물고 근거지가 사찰이라 더없이 적막한 곳이기도 하다.

한동안은 사찰 마당을 거닐며 망자와 망자의 가족을 맞이할 때 어찌해야 하는지 혼자 시뮬레이션을 해 보다 잠시 멈춰 새들의 울음에 홀려 멍청히 서 있기도 했다. 새들이 우는 소리와 바람이 구릉을 타고 넘어가는 소리, 바람에 몸을 맡긴 채 나무들이 제 몸을 비벼대는 소리들이 이곳의 주인은 정적이라는 걸 절감케 해 준다. 어느 날엔 하루 종일 단 한 사람도 사찰을 찾아오지 않는 경우도 있다. 내겐 훌륭한 시간이지만 수목장의 입장에서 보자면 망하는 시간이다. 그렇다고 방문객이 아주 없는 건 아닌데, 가끔은 망자와 함께 유족들을 잔뜩 태우고 들어온 버스가 주차장 마당을 잠깐 소란스럽게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그건 아주 잠시. 그들은 곧 입을 다물고 조용히 흐느끼는데 그 과정이 꼭 적막을 확인하는 시간 같다.

그들이 모두 나무 아래 모이면 나는 유골을 묻기 시작한다. 유골이 들어갈 구덩이를 파고 구덩이 벽을 한지로 두른 후 유골을 구덩이에 붓고 온기가 가시게 마사토와 섞는다. 가끔은 그 온기 때문에 섬뜩할 때도 있는데 그게 꼭 산 사람의 체온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유골이 구덩이 속으로 사라지면 흙을 덮고 그 위에 떼어두었던 잔디를 얹어 준다. 지신밟기를 하듯 손바닥으로 땅을 눌러 주면서 망자들과 나무들이 서로를 잘 맞아들이기를 빈다. 일 끝내고 사람들은 나무 밑에서 안식을 맞이했을까라고 의문을 품어보는데 푸르게 제 머리를 흔드는 나무들을 보면 만족한 눈치다. 나이가 어리든 많든, 혼자 살아왔든 대가족을 이루고 살아왔든, 선인이든 악인이든 개의치 않는 눈치다. 아무리 형식적인 절차에 통달했다고 하더라도 나무가 자신을 의지한 망자들과 나눈 교류를 내가 어찌 짐작할 수 있을까. 딱히 섭리에 대해 알지 못하지만 나무에게로 가는 그 길이 부자연스럽지도 않고 삶의 진리에도 크게 어긋나지 않으며 지금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크게 마음의 부담이 없다는 걸 느끼곤 한다.

유족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가면 원래의 정적보다 더 큰 정적이 사찰을 가득 채운다. 처음 한 달은 그 시간을 감당하지 못해 맥없이 나무들 사이를 휘젓기도 했다. 나무들을 의지 삼아 줄을 친 거미줄을 걷어내거나 나무 사이 곳곳에 숨은 잡초들을 뽑기도 하고 족히 1시간은 쓸어야 할 만큼 넓은 길과 마당에 하염없이 비질을 했다. 그런 후 나무 주변에 흩어진 말들을 떠올려 본다.

사람들은 내 앞에서 자세히 말하지 않지만 유골을 든 사람들이 낮게 중얼거리는 소리를 듣고 있노라면 그들이 살아온 세월이 얼마쯤 느껴지곤 한다. 죽은 자의 신상을 확인하고 그를 중심으로 모여 있는 거의 모든 가족들과 그들이 소곤거리는 말들 속에서 나는 망자의 내력까지도 얼마쯤 엿듣는다. 가족들은 구덩이를 내려다보며 자신들의 죄를 고백하기도 하고 아쉬움을 남겨 놓기도 한다. 그 말들이 나무에게 새로운 기억을 만들어 주는 것이라는 생각을 해 본다. 마지막을 맞이했을 한 사람의 기억이 깃든 나무들이 바다에서 불어왔을 바람에 몸을 흔든다.

나무들이 지구가 멸망하기 전까지 살아남는다면 나무가 품어 준 사람들의 기억은 이 별 어딘가에 화석으로 고스란히 남게 되리란 생각도 해 본다. 죽어 하나의 나무로 다시 기억된다면 그리 나쁜 일은 아니겠다는 생각도 든다.
2021-07-3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