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칼럼] 말이 좀 많아졌지만/전민식 작가

[금요칼럼] 말이 좀 많아졌지만/전민식 작가

입력 2021-05-20 20:10
수정 2021-05-21 03: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전민식 작가
전민식 작가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말이 많아졌다. ‘나이 먹으면 입은 닫고 주머니는 열라’고 하는데 나이를 먹으니 오히려 현실적인 욕심은 더 강해지고 남들에 대한 이해나 포용의 정도는 더 희미해지는 데다 주머니 열어서 꺼낼 여유마저 없다 보니 가벼운 주머니를 말로 채우려 했던 듯하다. 그런데 그건, 사람은 늙어 가면서 말이 많아지는 동물이어서인지도 모른다고 변명한다.

본래 나는 말 없는 사람이었다. 예스와 노로 간단하게 대답하는 데다 소설 작업을 위한 취재에 익숙해지면서 말하기보단 듣기와 더 친해진 탓이었다. 게다가 소설 쓰는 작업 중에 누군가와 이야기하다 보면 길을 잃기 쉬워서 작업하는 기간엔 가능한 한 사람들을 만나지 않은 탓도 있을 것이다. 사람이 좀 외골수적인 기질이 있고 말을 많이 하면 글 쓰는 데 기력이 빠져 글이 힘을 얻지 못하는 그런 기분 때문이라 생각해 말을 아꼈던 이유도 있었던 듯했다.

그런데 그런 시간이 억울하기라도 한 듯 작업 하나를 끝내고 나면 전과 달리 말이 많아졌다. 유튜브니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니 적극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말하는 작가들의 행보가 눈에 띄기도 하고 책으로만 소통하기에는 내가 그리 유명하지 않으며 비대면 상황도 한몫 거든 듯도 하다.

요즘 대학원 강의를 하는데 코로나 덕분에 비대면 강의를 한다. 그런데 이 비대면 강의라는 게 수강생들에게 아직은 익숙하지 않은 탓인지 실기수업임에도 쌍방향 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편이다. 과거 대면 수업을 할 때는 수업 중에도 자신의 생각을 거침없이 발언하는 수강생들이 많았는데 비대면으로 바뀐 뒤 꼭 호명을 해야만 잠깐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는 금방 입을 닫는다. 더해서 얼굴을 마주보고 있지만 사람들 사이에 기본적으로 흘러가야 할 교감이 잘 느껴지지 않는다.

그렇다고 비대면 수업이 단점들만 있는 건 아니다. 비대면 수업을 하니 여러모로 편하다. 학교를 오가야 하는 시간이 줄어들었고 편한 복장으로 수업을 하니 몸도 마음도 편해졌다. 그럼에도 아쉬운 건 사람 살아가는 모습을 볼 수 없다 보니 대면 수업을 하던 시절과 달리 사람들 사이가 멀어진 느낌이 드는 점이다. 그렇게 멀어진 느낌을 바짝 조여보려는 의도도 있겠지만 이런저런 글들 마무리 짓게 됐고 계절이 여름으로 진입하면서 나는 말을 많이 하게 됐다. 대면 수업이었다면 무슨 말을 하고 싶어 하는지 수강생과 그저 눈 한번 마주치면 얼추 짐작이라도 했건만 화면 속에 갇히다 보니 무슨 생각들을 하는지 알아내는 게 불가능해진 데다 얼굴만 달랑 보는 풍경이 뭔지 알 수 없지만 전체를 보지 못하게 만드는 기이한 구조라는 기분도 들었다.

대면 수업일 때는 잠깐의 여백들이 존재했는데 비대면으로 수업을 하다 보니 내가 입을 다물면 견딜 수 없는 정적이 화면을 가득 채우고 화면 앞에 모인 수강생들은 물론 나 자신까지 뻘쭘해지는 걸 경험한 뒤로는 수업 시간 내내 말이 끊어지지 않도록 노력한다. 그러니 내 말이 늘어나는 데에 코로나가 큰 몫을 한 셈이다. 문제는 해야 할 말만 늘어야 하는데 해 봐야 별 도움이 안 되는 잔소리까지 늘어버린 듯한 기분이 든다.

언젠가 시골에 계신 어머니가 하소연을 해 왔다. 당신이 말이 많냐는 것이었다. 어쩌다 고향에 가게 되면 하루 종일 어머니만 말을 한다. 하루 종일 말 한마디 하지 않는 걸 생각하면 말이 많아진 그 상황을 막아서는 안 될 노릇이다. 여러 어른에게서 입안에 곰팡이가 핀다는 말을 듣는다. 좀 넘치더라도 우리가 말을 열심히 하는 건 한 사람이 살아 있다는 걸 보여 주는 적극적인 증명이리라. 얼마 전 ‘잃어버려서 두려운 건 학습이 아니라 관계’라는 내용의 기사를 보았다. 좀 푼수 같고 가벼워 보이기도 하겠지만 나든 내 어머니든 말을 열심히 하는 건 살아 있기에 관계를 잃지 않겠다는 뜻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2021-05-2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