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두진 건축가
도시로서 기능하고 있다는 것 정도는 알고 있었다. 일본인 동료에게 조심스럽게 물었다. 지금 그곳 상황이 어떠냐고. 원폭 떨어진 지 불과 60년 정도밖에 안 되지 않았냐고. 그런데 도대체 무슨 이야기냐는 식의 대답이 돌아왔다. 사람이 사는 것은 물론이고, 아주 번성하는 상공업 도시라는 것이었다. 며칠 후 기차를 타고 가다가 창밖으로 내다보니 과연 그랬다. 여느 일본 도시와 다르지 않았다. 히로시마는 건재했다. 나중에 들었지만 나가사키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자료를 찾아보았다. 원폭 투하 직후 당연히 인구가 감소했다. 당시 인구 34만명 중에 8만명 정도가 피폭 직후에, 그해 연말까지 14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망했다. 전체 관련 사망자 수는 30만명에 달했다. 그런데 히로시마의 인구는 다시 늘어났다. 전쟁이 끝나고 많은 군인이 고향으로 돌아왔다. 아무리 고향이지만 원폭이 떨어진 곳으로 돌아간다고? 방사능은? 후유증은? 폭심에서 가까운 부분은 한동안 비어 있었지만 그 너머의 지역은 일상의 삶이 회복되었다는 것이다. 현재 히로시마의 인구는 120만명에 달한다. 진실은 ‘영원한 불모지’와 현재의 히로시마 사이 어딘가에 존재할 것이다.
비슷한 혼란을 요즘 경험한다. 다름 아닌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처리수, 혹은 오염수 문제다. 보통의 시민이 이 문제에 대한 정보를 얻고 의견을 갖기 위한 최선의 수단은 다름 아닌 언론이다. 그런데 여러 기사를 비교해 가며 읽어 봐도 도대체 정확한 상황을 알기 어렵다. 한쪽에서는 워낙 방사성물질의 밀도가 낮아서 아무 문제없다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다른 한쪽에서는 곧 대재앙이 닥칠 것이라는 경고가 올라온다. 보통의 독자로서는 판단할 수 없고,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의견도 가질 수가 없다. 소심하게 앞으로 회를 못 먹게 될 수도 있으니 미리 먹어 두는 것이 어떨까 정도의 생각을 가질 뿐이다.
작심을 하고 파고들면 아마 희미한 답의 윤곽 정도는 얻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보통의 시민이 굳이 그런 수고까지 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것이 언론의 존재 이유 아닐까. 사회, 정치, 문화 등 가치관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인문적 ‘해석’이야 분분할 수 있고 또 그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과학, 그리고 기술의 영역이다. ‘처리수’와 ‘오염수’ 사이 어딘가에 분명히 객관적 사실이 존재할 것이다. 과학도 궁극적으로는 절대적이지 않다는 여러 의견이 있지만, 지금 이 상황이 그런 시각을 적용해야 할 경우인지는 잘 모르겠다.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그냥 과학이 외면당한 자리를 다른 것들이 차지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이런 상황을 겪으면서 세상에 얼마나 기본적인 과학 정신이 부족한지 새삼 깨닫는다. 자연은 ‘스스로 그러해서’ 자비심이나 증오심이 없고, 쇠는 녹이 슬고 물은 낮은 곳으로 흐른다. 그것을 인간이 원해도, 원하지 않아도 그렇다. 거기에 목적을 부여하는 일체의 시도는 부질없다. 그것을 겸허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과학정신의 기본이라고 믿는다. 그런 입장에서 누군가가 보통의 시민이 이런 문제에 대해 유의미한 의견을 가질 수 있도록 과학정신에 입각한 도움을 준다면 매우 감사하겠다. 히로시마건, 나가사키건, 후쿠시마건.
2021-05-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