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두진 건축가
교육자의 입장은 조금 더 복합적이다. 당장의 업무를 수행할 능력을 키워 주는 것이 물론 중요하지만, 장기적으로 어떠한 건축가로 성장하도록 도울 것인가를 또한 고민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딜레마가 생긴다. 그 직원이 얼마나 오래 회사에 남아 있을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장기적인 관점에 기초한 노력은 불확실한 투자로 끝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어떤 분야라도 이런 투자 없이 인재양성은 불가능하다. 이것은 우리 회사 못지않게 업계의 미래를 위해 마땅히 기울여야 할 노력일 수밖에 없다. 모든 분야는 결국 이러한 ‘불확실한 투자’에 의해 만들어져 왔을 것이다.
그렇다면 신입사원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 수많은 후보가 떠오르지만 그간의 경험으로 보면 한마디로 압축할 수 있다. 해상도를 높여 주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감각의 해상도, 그리고 사고의 해상도다. 다른 말로 하면 섬세하게 느끼고 섬세하게 생각하는 사람을 만든다는 것이다. 왜 이렇게 생각하느냐고 묻는다면 대답도 준비돼 있다. 높은 해상도가 바로 미래가치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역으로 해상도가 높지 않으면 미래도 없다. 아니, 미래를 만들 수가 없다.
직원이 현장을 다녀왔다고 하자. 무엇을 보고 왔냐고 물었을 때 ‘주변에 낡은 집들이 많았다’ 정도의 대답은 아주 기초 해상도에 해당한다. 조금 더 해상도를 높이면 이런 대답이 가능하다. ‘양식이나 공법, 사용된 재료로 보아 1980년대에 지어진 것들로 추정되는 집들이 주변에 많았다.’ 그다음은 뭘까? ‘1980년대에 유행했던 집장사집 풍으로만은 설명되지 않는, 독자적인 성격의 집들도 있었는데, 관련 자료를 찾으면 설계자도 알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가상의 대화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높은 해상도는 관찰력과 정보력이 결합된 결과라는 것이다. 아무리 열심히 들여다보아도 아는 것이 없으면 해석과 평가가 불가능하다. 반대로 아는 것은 많은데 관찰이 부족하면 성글고 무딘 판단밖에 내리지 못한다.
어떻게 하면 해상도를 높일 수 있을까?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한 가지 대상에 최대한 오래 몰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러 가지를 휙휙 넘어다니는 것이 겉으로는 화려해 보일지 몰라도 실제로 얻을 것은 별로 없다. 한 대상을 끈질기게 관찰하면서 관련된 정보를 찾아보는 것은 해상도를 높이는 아주 좋은 방법이다. 전원에 살면서 스케치와 글을 통해 자연을 관찰하고 기록을 남기며 어린 시절을 보낸 사람이 도시에서 이것저것 경험하며 바쁘게 산 사람보다 해상도를 훨씬 더 높일 수 있다. 훌륭한 예술가들 중에 전원 출신이 많은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이것은 학벌과도 무관한 문제다.
사람의 인생에서 해상도를 결정적으로 높일 수 있는 시기는 따로 있는 것 같다. 빠르면 빠를수록 좋지만 그간의 경험으로 보면 늦어도 30세 이전에는 그 과정을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후에는 해상도를 최대한 유지하고 지속적으로 완만하게 개선해 나갈 수밖에 없다. 보통 신입사원들은 20대 중후반이지만 휴학, 병역 등으로 인해 30세 언저리인 경우도 있기 때문에 사실상 시간이 별로 없다. 다행인 것은 한 번 어느 분야를 통해 형성된 높은 해상도는 다른 분야에도 쉽게 적용이 되고 시간이 지난다고 사라지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개인도 그렇고, 회사도 그렇고, 결국 국가도 그렇다. 대한민국의 해상도는 어디까지 와 있을까.
2021-01-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