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칼럼] 매뉴얼/황두진 건축가

[금요칼럼] 매뉴얼/황두진 건축가

입력 2020-12-17 20:14
수정 2020-12-18 02: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황두진 건축가
황두진 건축가
서가 정리는 소장하고 있는 책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돌아보는 일이다. 어떤 책을 남기고 어떤 책을 방출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으로 그 정체성은 더욱 강화된다. 이렇게 해서 질서가 잡히고 단출해진 서가는 마치 성공적인 다이어트를 마치고 난 몸처럼 경쾌하며 유연하다. 잘 관리된 몸이 더욱 많은 움직임을 원하는 것처럼, 정리된 서가는 더 많은 지적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생각이 환경을 만들지만, 환경은 생각을 자극한다.

최근 다시 서가를 정리하면서 특정 성격의 책들이 생각보다 많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 책들을 분야와 무관하게 한 곳에 모아 잘 보관함으로써 그 관심은 서가의 물리적, 시각적 질서의 한 부분이 됐다. 다양한 종류의 그 책들을 하나로 묶어 주는 공통점은 바로 ‘매뉴얼’이다. 그중에는 단순한 호기심에 구해 놓은 스페이스 셔틀이나 2차 대전 당시 미국 폭격기 매뉴얼 같은 것들도 있다. 가끔 꺼내 보면 간결하고 명확한 문체 덕분에 이외로 읽기의 재미 또한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그 묶음의 한쪽에 대한민국 헌법이 있다. 아마도 이것은 넓은 의미에서 국가의 매뉴얼일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 함께 모아 두었다.

매뉴얼을 독서의 대상으로 삼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오직 정보 전달이 목적일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기 때문이다. 읽을거리의 위상으로 보면 당연히 소설이나 산문 등에 견줄 수 없고 일반 실용서적에 비해서도 그렇다. 게다가 한국은 매뉴얼을 읽지 않거나 읽어도 무시하는 것으로 소문난 나라다. 대형 사고가 터질 때마다 매뉴얼의 존재 및 준수 여부는 빠짐없이 도마에 오른다. 일상적으로도 수많은 제품들이 매뉴얼을 읽지 않은 사용자의 무심하고 거친 손길로 인해 망가지기 일쑤다.

지금까지 읽어 본 매뉴얼 중에 가장 인상적이었던 경우는 한 음향 회사에서 만든 음향기기에 대한 것이었다. 음향은 어려운 용어가 많은 분야지만 이 회사의 매뉴얼은 사용자의 입장과 고민을 다 이해한다는 듯이 유머러스한 언어로 간단한 것부터 재미나게 잘 설명하고 있었다. 덕분에 다 읽고 난 뒤 그 기계는 물론 음향 장비 전반에 대한 개념이 조금 더 생겼다. 이렇게 매뉴얼을 잘 쓰면 사람들도 재미나게 읽을 것이다. 우연이었을까, 매뉴얼 문화가 발달했다고 알려진 일본에서 온 것이었다.

매뉴얼의 정의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한 기술 컨설팅 회사의 홈페이지에 나온 ‘특정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기술 소통 문서’라는 것이 특히 인상적이었다. 이 정의는 매뉴얼의 기본 요소 3가지를 제시하는 것 같다. 우선 ‘특정 시스템’이다. 즉 매뉴얼은 어떤 구체적인 사물을 대상으로 한다. 무엇에 대해 이야기할 것인가가 명확해야 하는 것이다.

그다음은 사용자다. 누가 이 매뉴얼을 읽을 것인가? 그 사물을 사용하는 사람일 것이다. 따라서 매뉴얼은 철저하게 사용자 위주로 작성돼야 한다. 예를 들어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자동차 매뉴얼에 너무 전문용어가 난무하면 읽는 이의 의욕을 꺾어 버릴 것이다. 반대로 고도의 전문가가 다뤄야 하는 기계의 매뉴얼이라면 자세한 기술 정보를 많이 담아 주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는 도움을 주기 위함이라는, 매뉴얼의 목적이다. 매뉴얼은 이런 점에서 매우 이타적이고 선한 의도로 만들어지는 문서다. 어떻게 하면 사용자가 이 사물을 잘 다룰 수 있을까, 그러기 위해서는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까 등등의 고민을 정작 그 물건을 만든 사람 이상으로 해야 하는 것이다.

많은 매뉴얼이 이 세 가지 요소 중 어느 부분에서 실패한다. 사용자가 읽고 이해하기 어렵거나 혼란스러운 매뉴얼도 많다. 그렇다면 그런 부분을 고쳐 써야 할 것이다. 서가 한쪽에 꽂혀 있는 ‘대한민국 헌법’을 유독 오랫동안 바라보았다.
2020-12-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