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칼럼] 나의 도시 이야기/황두진 건축가

[금요칼럼] 나의 도시 이야기/황두진 건축가

입력 2020-08-27 17:08
수정 2020-08-28 01: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황두진 건축가
황두진 건축가
오래전 서울에 대한 책을 한 권 쓴 적이 있다. ‘서울이란 이런 도시다’라고 정의 내리려는 야심은 없었다. 서울에서 나서 자라기는 했어도 워낙 대도시인 데다가 역사도 긴 서울은 그 누구라도 쉽게 재단할 수 없다. 서울을 나름대로 큰 틀에서 규정하려는 책들을 읽어 보았지만 내가 쓸 수는 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내가 겪은 서울’에 대한 이야기라면? 그래서 용기를 내기로 했다.

일단 그때까지 살아왔던 개인사를 시간순으로 정리해 보았다. 그런데 써 놓고 보니 그 자체로는 도저히 책이 될 수 없을 것 같았다. 너무 평범한 이야기였기 때문이다. 어디에서 태어나고, 어떤 학교를 다녔고, 어디에서 살았고 등등이 대부분이었다. 구자춘 전 서울시장처럼 20분 만에 지하철 2호선 노선을 그렸다거나 서울의 유서 깊은 고택에서 태어났다거나 88올림픽에 출전했다거나 하는 흥미진진한 이야기란 내 삶에 없었다. 다만 건축가였기 때문에 일을 통해 몇몇 지역을 경험해 본 것이 장점이라면 장점이었다. 그런데 그 정도의 사회생활 경험은 누구라도 어느 정도 하게 마련이다.

일단 개인의 삶으로 어느 정도 틀을 잡은 이후에는 거기에 조금 더 큰 역사적 사실들을 끼워 넣기 시작했다. 그런데 그때부터 이야기가 나 자신에게도 재미있어지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나는 아주 어렸을 때 전차를 탄 기억을 희미하게 갖고 있었는데, 이것이 정말 나 자신의 기억인지 아니면 티비나 영화의 어떤 장면에 빙의한 것인지 알 수 없었다. 그런데 자료를 찾아보니 서울의 전차는 내가 만 다섯 살 되던 해까지 운행했었고 노선도를 보니 내가 생각하는 그곳에 정류장이 있었다. 그러니까 내 경험은 사실이었고 전차에 대한 추억을 함께 나눌 사람들도 얼마든지 있을 것이었다.

내가 다녔던 중학교는 아주 오래된 벽돌 건물이었다. 학교 다닐 때는 몰랐는데 글을 쓰면서 앨범을 보니 정말 아름다운 건물이었다. 그런데 그 건물은 학교가 강남으로 이전하면서 일부만 옮겨졌을 뿐 헐리고 말았다. 이것도 찾아보니 또 다른 차원의 이야기가 있었다.

왜 수많은 강북의 학교들이 1970년대 이후 강남으로 이전했을까. 알고 보면 ‘서울이 만원이어서’ 인구를 분산하기 위한 고육책이었다. 당시 서울 사람치고 이런 변화의 흐름과 무관한 경우란 없었다. 결국 책을 써 가면서 나란 존재가 얼마나 사회의 일부였던가를 새삼 깨달았다. 순수한 나의 결정이었다고 생각했던 것도 지나고 나서 보면 당시 사회적 맥락의 일부였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런 구조의 책은 누구나 쓸 수 있다. 요즘 식으로 말하자면 ‘미시사와 거시사를 교직’하는 책이라고 하겠다. 누구에게도 자기만의 개인적 서사가 있고 그것은 예외 없이 시대적 서사와 연결된다. 근래에 갑자기 맛있어진 맥주를 즐기고 있다는 개인적 경험 뒤에 주류 관련법의 개정이라는 구조적 배경이 있는 것과도 같다. 두 이야기를 따로 나누면 재미가 없지만 연결시키면 달라진다.

코로나 시대를 맞아 해외여행이 막히면서 국내의 장소들이 새로운 목적지로 부상하고 있다. 요즘은 대체로 사전 준비를 잘해서 여행을 가는 추세인데, 그러다 보면 결국 가고자 하는 곳과 관련된 책을 찾아보게 된다. 최고의 선택은 그 지역에서 오래 살았던 사람이 쓴, 개인적 경험과 객관적 사실이 함께 담긴 책이겠지만, 의외로 그런 경우란 별로 없다. 관청이 주도해서 만든 홍보성 책들은 정보는 제공할지 몰라도 개인의 이야기가 없어서 건조하다.

개인들은 자신의 삶이 드라마틱하거나 영웅적이지 않으면 이야기가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이 엄청난 공백 앞에 용기가 좀 필요하다. 자기가 겪은 자기 도시의 이야기는 자기밖에는 쓸 사람이 없다. ‘누가 이런 책 좀 안 써 주나’ 기다릴 필요가 없다. 당신이 나서야 한다.
2020-08-2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