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겸임교수
‘새로 꾸민 만권 서적, 힘센 소도 무거워 땀 흘릴 지경이네/그저 쌓아 두었다네, 화려한 집에 책상도 정갈하군/그러나 아까워라, 평생 한 번도 읽지 않으니!/이웃이 잠깐 빌려 볼 수 없다고 하네.’
서재에 멋진 책상을 들여놓고 값비싸고 귀한 서적을 책장에 차곡차곡 쌓아 둔 풍경이 눈앞에 전개되는 것 같다. 만권 또는 2만권의 책을 소장한 부자들이 방방곡곡에 있었다니 흥미롭지 않은가. 18세기의 이름난 독서가 이덕무의 손자인 이규경은 장서가의 풍습을 자세히 서술했다.
그 시절의 장서가는 거금을 들여 책을 사들인 다음, 서고에 깊숙이 감춰 뒀단다. 주인도 책을 읽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일도 좀체 없었다. 한참 세월이 흐른 뒤 서고의 책에는 좀이 슬거나 군데군데 쥐가 갉아먹은 곳이 생기기도 했다. 그럴 때쯤 종들이 주인 몰래 책을 훔쳐서 팔아먹었다. 그리하여 완질(完帙)을 갖춘 책이 드물었단다.(‘오주연문장전산고’ 경사편 4)
부자들은 정말로 책을 읽지 않았을까. 쉬 판단하기 어려운 일이라 생각한다. 그런 불평을 늘어놓은 이규경만 해도 이름난 장서가였고 엄청난 독서가였다. 그때는 대궐에도 수만권의 도서가 쌓여 있었다. 지식의 양적 팽창은 이전 시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눈부셨다. 분야마다 저술이 넘쳐났고, 덕분에 부지런하고 호기심이 강한 선비들이 ‘유서’(類書)라고 불리는 일종의 백과사전을 펴냈다. ‘동국문헌비고’, ‘임원경제지’, ‘오주연문장전산고’의 등장이 증명하는 바다.
하건마는 책을 모으기만 하고 잘 읽지 않는다는 비판은 계속됐다. 유난히 책을 사랑한 정조는 이런 식으로 탄식했다. 창덕궁의 열고관(閱古觀)에 소장된 도서는 6만~7만권가량인데, 조정 신하 중에서 장서가로 이름난 이들도 4만권 이상 가진 이가 없다. 책을 가장 많이 읽었다는 사람도 열고관의 책을 전부 다 읽지는 못했을 것이라고 했다. 열고관의 도서를 임의로 한 권 뽑아서 내용을 물어본다면 제대로 대답할 사람이 과연 있을까 모르겠다고, 왕은 아쉬워했다.(‘홍재전서’ 제162권)
열고관은 창덕궁 주합루 남쪽에 있다. 2층짜리 왕립도서관인 셈인데, 그 북쪽에는 개유와(皆有窩)라는 또 다른 서고가 있다. 열고관과 개유와에 중국에서 수입한 도서를 소장했다. ‘도서집성’(5000권)을 비롯해 수십종의 귀중본이 거기에 간수됐다. 한편 열고관의 서편에는 국내 서적을 비치한 서고도 있었다.
일반 대중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도서관은 아직 없었다. 그러나 왕실을 비롯해 각지의 부자들이 책을 구입해 보관하는 데 정성을 쏟았으니 나무랄 일이 결코 아니었다. 그들이 책을 읽지도 않고 빌려주지도 않았다는 비판이 쏟아졌으나, 크게 과장된 말이었으리라고 본다.
그 시절의 장서가처럼 여유롭고 한가한 사람은 다시 없었다. 시간이 흐르자 그들 집안에서 학자들이 쏟아져 나왔다. 구한말의 우국지사 매천 황현도 조부가 물려준 재산이 있었기에 학자로 성장할 수 있었다. 혜강 최한기의 경우는 더더욱 그러했다. 그는 물려받은 재물을 몽땅 털어서 서양 사정을 기술한 청나라의 신간을 구했다. 날이 갈수록 가세는 기울었으나, 시대의 흐름을 꿰뚫는 그의 혜안은 더욱 형형하였다.
오늘날에도 장서가라고 할 만한 사람이 없지 않으나, 시대적 추이로 미뤄 이런 사람들은 곧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그들이 애장한 서적만 따로 모아서 전문 도서관이라도 만들어 두면 어떨까. 우리 문화의 기반이 더욱 튼튼해질 것이다.
2020-05-0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